리눅스 (Linux)2015. 12. 24. 23:50

[절대경로 표시]

# vim /etc/.bash_profiles (아래 명령문 추가)

1번

export PS1=`hostname`:`whoami`:'$PWD'"># "


vi .bash_profile


2번


export PS1="\h:\u:"'$PWD'"># "

'리눅스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파일갯수 확인  (0) 2015.12.24
서비스 동시접속 인원알기  (0) 2015.12.24
방화벽 테이블 등록 명령어  (0) 2015.12.24
날짜,시간 설정 명령어  (0) 2015.12.24
Linux 버전 정보 확인  (0) 2015.12.24
Posted by 랩퍼우
리눅스 (Linux)2015. 12. 24. 23:49



cat /etc/sysconfig/iptables

lokkit -p 포트:tcp
lokkit -p 포트:udp


(예)
lokkit -p 80:tcp
lokkit -p 443:tcp

'리눅스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비스 동시접속 인원알기  (0) 2015.12.24
프롬프트 절대경로 표시  (0) 2015.12.24
날짜,시간 설정 명령어  (0) 2015.12.24
Linux 버전 정보 확인  (0) 2015.12.24
리눅스 디렉터리 구조, 명령어 형식  (0) 2015.12.24
Posted by 랩퍼우
리눅스 (Linux)2015. 12. 24. 23:47

# date -s '년-월-일 시:분:초'

# date -s '2015-11-24 11:18:30'

Posted by 랩퍼우
리눅스 (Linux)2015. 12. 24. 23:47

[Linux 버전 정보 확인]

- Linux 시스템에는 다양한 종류와 버전의 OS가 사용되고 있다.
  CentOS, Fedora, Redhat, Debian, UBuntu, Mandriva, Suse, Mageia 등

# cat /etc/redhat-release  / # lsb_release -a  / # cat /etc/issue  (OS 종류 및 버전)

# cat /proc/version        /  # uname -r      (커널 버전)

# getconf LONG_BIT                             (비트수)

'리눅스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방화벽 테이블 등록 명령어  (0) 2015.12.24
날짜,시간 설정 명령어  (0) 2015.12.24
리눅스 디렉터리 구조, 명령어 형식  (0) 2015.12.24
리눅스 스케줄 설정 crontab  (0) 2015.12.24
crontab 설정 방법  (0) 2015.12.24
Posted by 랩퍼우
리눅스 (Linux)2015. 12. 24. 23:46

▣ 리눅스 디렉토리구조

리눅스 메뉴표시줄-프로그램-시스템 도구-파일 브라우저 실행



1.리눅스는 설치를 하면 최상위 디렉토리(/ 루트 디렉토리) 아래에 비슷한 성격의 파일을 저장하고 있는 여러 디렉토리가 자동으로 생성된다.

디렉토리는 윈도우의 폴더 개념이다.

2.리눅스는 대소문자를 구분한다. (디렉토리 또는 파일 이름, 명령어, 명령어 옵션, 계정 등)

관리자 계정 루트는 소문자 root(대문자 ROOT 는 로그인이 안 된다.)



                       /

                                               |

+---------------------------+---------------------------+

        |                                                                              |

       boot    etc    usr    var   root   home   tmp   lib    dev   proc   media  



/boot : 커널 디렉토리(부팅 관련 파일)

/etc   : 시스템 설정파일 디렉토리

/usr   : 응용프로그램 디렉토리

/var   : 로그파일, 메일 디렉토리

/root  : 관리자 홈디렉토리

/home : 일반계정 홈디렉토리 베이스

/tmp  : 임시 디렉토리

/lib    : 라이브러리 디렉토리

/dev  : 장치파일 디렉토리

/proc : 프로세스 정보 디렉토리

/media, /mnt : cdrom 마운트 디렉토리



▣ 실행파일(명령어) 디렉토리

/bin

essential binaries 필수 명령어(All user = root + 일반유저)


/sbin

system binaries 필수 관리자용(root) 명령어


/usr/bin

most user commands 대부분의 사용자 명령어


/usr/sbin

non essential binaries 비 필수적인 명령어(시스템 관리용)


/usr/local/bin

local software Linux OS 설치후에 추가된 프로그램 명령어



'리눅스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날짜,시간 설정 명령어  (0) 2015.12.24
Linux 버전 정보 확인  (0) 2015.12.24
리눅스 스케줄 설정 crontab  (0) 2015.12.24
crontab 설정 방법  (0) 2015.12.24
리눅스 top 명령어 설명  (0) 2015.12.24
Posted by 랩퍼우
리눅스 (Linux)2015. 12. 24. 23:46

1시간 마다 /root/test.php 를 실행하도록 설정하는 예)

 

01 * * * * root /root/test.php

 

/etc/crontab 에 위 라인을 추가하고

 

/etc/init.d/crond restart

 

하면 한 시간마다 실행됩니다.

////////////////////////////////
cron 설정하기
* * * * * 실행파일
순서대로 분 시 일 월 요일 실행파일
분 : 0-59 
시 : 0-23
일 : 0-31
월 : 0-12
 요일 : 0-6 : (일-토 : 0과 7은 일요일이며 1부터 월요일이 시작된다.)

* : 모든 시간대에 실행이 된다.
예> * * * * * 실행파일 : 매분마다 실행한다.

- : 기간을 범위지정한다.
예> 10-20 1 * * * 실행파일 : 매일 새벽 1시 10분부터 20분까지 1분마다 실행한다.
예> 10-20,30-40 1 * * * 실행파일 : 매일 새벽 1시 10분부터 20분까지 1분마다 실행된 후 30분부터 40분까지 1분마다 실행한다.

, : 기간을 지정한다.
예>* 10,14,17 * * * 실행파일 : 매일 10시, 14시, 17시에 실행한다.

/ : 간격을 지정한다.
예> */3 * * * * 실행파일 : 매 3분마다 실행한다.

사용 예>
*/3 * * * * root /usr/local/apache2/bin/php -q 실행파일 > 20120302.log &
: root 권한으로 매3분마다 백그라운드로 실행하고 로그파일을 남긴다.

참고> 만약 중복되게 지정하면 중복으로 실행한다.
예> 30 10 10,15 * 1 실행파일 : 매달 10일, 15일 10시 30분에 실행, 매주 일요일에도 실행한다.

주의> crontab 설정을 변경한 후에는 cron 서비스를 재시작해야한다.
]# service crond restart


/////////////////////////////////////////////////


- 시스템의 주기적인  cron 작업의 설정, 수정등을 하는 명령어
  - 시스템에서 가장 중요한 데몬중의 하나인 crond 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명령어
  - crond 데몬은  /etc/rc.d/init.d/crond 의 스크립트에 의해 시작, 종료, 재시작될수 있음

  - crond 데몬
     - /etc/crontab 파일
     - /etc/rc.d/init.d/crond 스크립트
     - /var/spool/cron 디렉토리내의 크론설정파일들

 

 

명령어 위치 : /usr/bin/crontab
사용형식     : crontab [ -u 사용자id ] 파일
                   crontab [ -u 사용자id ] { -l | -r | -e }

 

cat /etc/crontab
매시 1회 자동실행하기 위한 시스템 크론 설정

01 * * * * root run-parts /etc/cron.hourly
  - 매일 매시 01분마다 /etc/cron.hourly 디렉토리내에 존재하는 파일들을 실행


매일 1회 자동실행하기 위한 시스템 크론설정

02 4 * * * root run-parts /etc/cron.daily
 - 매일 새벽 4시 02분마다 /etc/cron.daily  디렉토리내에 존재하는 파일들을 실행

 

매주 1회 자동실행하기 위한 시스템 크론설정

22 4 * * 0 root run-parts /etc/cron.weekly
 - 매주 일요일 새벽 4시 22분마다 /etc/cron.weekly 디렉토리내에 존재하는 파일들을 실행

 

매월 1회 자동실행하기 위한 시스템 크론설정

42 4 1 * * root run-parts /etc/cron.monthly
 ->매월 1일 새벽 4시 42분마다 /etc/cron.monthly 디렉토리내에 존재하는 파일들을 실행


* root 이외의 사용자에게 crontab 명령어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방법

  - /etc/cron.allow 파일에 사용자의 id를 등록


* 일반사용자의 crontab 명령어사용을 제안하고자 한다면
  - /etc/cron.deny 파일에 사용자의 id 를 등록


 

* cron 설정하는 방법

 40 3 * * * root /home/mysql/mysql_backup.sh

 

 맨 앞의 40은 40분을 의미함 (분을 의미:0~59)

 그 뒤의 3은 03시를 의미함 (시를 의미:0~23)

 그 뒤의 * 은 매일을 의미함 (일을 의미:1~31)

 그 뒤의 * 은 매월을 의미함 (월을 의미:1~12)

 그 뒤의 * 은 매주를 의미함(요일을 의미 1:월요일~7:일용일)

 그 뒤의 root /home/mysql/mysql_backup.sh 는 root  계정으로 mysql_backup.sh을 실행하라는

 의미

 

 * 문자 : 각 필드에 해당하는 모든 숫자를 의미

 - 문자 : 각 필드자리에 하이픈 문자가 올수 있음

   ex) 일 필드자리에 11-15 (11,12,13,14,15일을 의미)

 ,문자 : 각 필드자리에 콤마문자가 올수 있음

   ex) 일 필드자리에 1,11,21 (1일,11일 21일을 의미)
/////////////////////////////////////////////////////////////////////

59 * * * * su - oracle -c "sh /data4/BACKUP/HOTBACKUP/1HOUR_ARCH_BACKUP.sh"

/////////////////////////////////////////////////////////////////////////////////
[HP_UX]crontab

━━━━━━━━━━━━━━━━━━━━━━━━━━━━━━━━━━━━━━━━━━━━━

◎ 범례

━━━━━━━━━━━━━━━━━━━━━━━━━━━━━━━━━━━━━━━━━━━━━


   굵은문자 : Reserved Word (UNIX 예약어)
   가는문자 : User Define (사용자가 직접 입력해야 하는 부분)
   [ ] : Option (지정하지 않아도 되거나 생략시 기본 설정값으로 대체됨)
   or, | : Choice(여러가지중 하나를 선택한다)

   윗글자 :  ¹ ² 등은 하단의 참조

━━━━━━━━━━━━━━━━━━━━━━━━━━━━━━━━━━━━━━━━━━━━━

◇ FORMAT

─────────────────────────────────────────────

crontab [-e|-l|r] [username]

-e : crontab을 추가/수정삭제 한다
     cron에 새로운 작업을 추가하거나 추가된 작업의 수정, 삭제를 위하여 사용된다.
     기본적으로 vi Editor를 사용한다.

-l : crontab의 내용을 보여준다

-r : crontab파일을 삭제한다.

username : 사용할 crontab 사용자
           보통의 경우는 해당 아이디로 로그인 후 crontab을 사용하므로 거의 생략됨
           root의 경우 사용됨

 

◆ 참고

─────────────────────────────────────────────

crontab 파일 구조


crontab파일은 "분 시 일 월 주 실행명령"의 형태로 구성되어있다
값을 주지 않을 경우 * 로 표시한다.

 

* * * * * Execute-Command
┬ ┬ ┬ ┬ ┬ ┬
│ │ │ │ │ └─실행할 명령어
│ │ │ │ └─── 실행할 요일 (0:일요일, 1:월요일, 2:화요일...6:토요일)
│ │ │ └───── 실행할 월   (1 ~ 12)
│ │ └─────── 실행할 일   (1 ~ 31)
│ └───────── 실행할 시간 (0 ~ 23)
└─────────── 실행할 분   (0 ~ 59)

 

각 구성은 콤마(,)를 사용하여 여러개를 줄 수 있다
예륻 들어 분을 30분 단위로 하고자 한다면 0,30 과 같이 줄 수 있다

 

※ 자바(Java)를 클론(cron)으로 실행하는 경우 등은 실행 명령어를 담은 Shell Script를
   작성하여 실행명령에 넣어야 한다.

 

※ HP-UX cron 관련 파일

 

     /var/adm/cron                      Main cron directory
     /var/spool/cron/atjobs          Directory containing at and batch job files
     /var/spool/cron/crontabs      Directory containing crontab files
     /var/adm/cron/log                Accounting information(실행 로그)

 

◆ 예제

─────────────────────────────────────────────

예1) 0,30 * * * * /user/ghi/test.sh

     : 매시간 0분, 30분에 test.sh를 실행 시킨다. (1시간에 2번 실행된다.)

 

예2) 30 * * * * /user/ghi/test.sh

     : 매시간 30분에 test.sh를 실행 시킨다. (1시간에 1번 실행된다.)

 

예3) 30 13 * * 6 /user/ghi/test.sh

     : 매주 토요일 오후 1시 30분에 test.sh를 실행 시킨다

 

예4) 30 0 1 1,4,7,10 * /user/ghi/test.sh

     : 매년 1,4,7,10월의 1일 0시 30분에 test.sh를 실행 시킨다
       (분기별 마감 등의 작업에 사용될 수 있다)
////////////////////////////////////////////////////////////////////////////////////////////////////


로그 남기기

stdout으로 화면에 출력되는 모든 로그를 남길 때.

'>'를 쓰면 매번 새로 기록(overwrite),
'>>'를 쓰면 기존 파일에 append가 됨


crontab 예제
crontab -e를 통해 아래의 명령을 크론테이블에 추가시킴.

 

매월매일 모든요일 06:00시에 /usr/local/bin/test.sh를 실행

    00 06 * * 0-6 /usr/local/bin/test.sh >> /dev/null

">> /dev/null"는 cron중 발생하는 로그를 버리도록 지정


1분간격으로 /usr/local/bin/test.sh를 실행

    * * * * * /usr/local/bin/test.sh >> /dev/null

 

10분간격으로 /usr/local/bin/test.sh를 실행

    10,20,30,40,50,60 * * * * /usr/local/bin/test.sh >> /logs/test.log

">> /logs/test.log"는 cron 실행중 발생한 로그를 test.log 파일에 append 시킴


 

Posted by 랩퍼우
리눅스 (Linux)2015. 12. 24. 21:17

crond 데몬 etcrec.dinit.dcrond 스크립트에 의해 시작, 종료,재시작될 수 있다

기본 명령의 위치 userbincrontab

 =아무곳에서도 실행 가능 함 등록,수정, 보기


 

사용형식

crontab [ -u 사용자 id] 파일

crontab [-u 사용자 id] { -l  -r  -e}


 

crontab -l  예약된 작업리스트

crontab -e  예약된 작업 수정

crontab -r  예약된 작업 삭제


 

crond 실행 확인

= ps -ef  grep crond


 

crond 시작

= etcrc.dinit.dcrond start{restart  stop}


 

일반사용자에게 crontab 명령어 사용하도록 설정 허가

= etccron.allow 여기에 ID 등록


 

일반사용자의 crontab 명령어사용을 제한하고자 한다면

=etccron.deny  에 ID를 등록

즉,

= etccron.allow  허용할 사용자 ID 목록
 = etccron.deny   거부할 사용자 ID 목록

cron.allow 파일이 있으면 이 파일에 들어있는 ID만 사용 가능
cron.deny  파일이 있으면 이 파일에 들어있는 ID는 사용 불가

따라서 cron.deny에 truefeel ID를 추가해주면 됩니다.


 

등록 내용 설정

분,시,일,월,요일, 실행명령 순으로 설정


 

crontab 파일 형식
------    --------  ---------------------------------------------------
필  드    의  미    범  위
------    --------  ---------------------------------------------------
첫번째    분        0-59
두번째    시        0-23
세번째    일        0-31
네번째    월        1-12
다섯번째  요일      0-7 (0 또는 7=일요일, 1=월, 2=화,...)
여섯번째  명령어    실행할 명령을 한줄로 쓴다.
------    --------  ---------------------------------------------------

- 한 줄당 하나의 명령 (두줄로 나눠서 표시할 수 없음)
- # 으로 시작하는 줄은 실행하지 않는다 (주석)

 

 

crontab -e 을 하면 vi 에디터가 나온다.(환경변수 EDITOR에 따라 다른 에디터를 사용할 수 있다.)



  $ crontab -e
   # home 디렉토리를 BACKUPhome 으로 백업해둠
  # 30분, 새벽 4시와 낮 12시, 모든 일, 모든 월, 모든 요일
  30 4,12     usrbinrsync -avxH --delete home BACKUPhome  devnull 2&1

  # 파일디렉토리 퍼미션 설정
  # 40분, 새벽 1시, 매주 일요일
  40 1      0  rootbinperm_set.sh    devnull 2&1


  # 20분마다 실행

  20     shellmrtg

 


 

위는 매일 430분과 1230분에 rsync 명령을, 매주 일요일 140분에 perm_set.sh를 실행함을 의미한다.

vi 에디터를 통해 설정을 하므로 중요한 몇 가지 에디터 사용법은 익혀야 한다.

----  -----------------------------------------------------------------------------
키    의미
----  -----------------------------------------------------------------------------
i     현재 칸에 글을 넣는다.
o     다음줄에 글을 넣는다.
dd    한줄을 삭제한다.
 wq   저장하고 빠져나온다.
ESC   설정중에 명령어 모드(위의 i, o, dd 등을 사용할 수 있는 상태)로 빠져 나온다.
----  -----------------------------------------------------------------------------


설정 예

시간 설정에서 몇가지 의미있는 것들을 알아보자.

- ''표시는 해당 필드의 모든 시간을 의미한다.
- 3,5,7 와 같이 콤마(,)로 구분하여 여러 시간대를 지정할 수 있다.
- 2-10와 같이 하이픈(-)으로 시간 범위도 지정할 수 있다.
- 2-103와 같이 하이픈(-)으로 시간 범위를 슬래쉬()로 시간 간격을 지정할 수 있다.
   (2~10까지 3간격으로. 즉, 3,6,9를 의미함)


=   devnull  2&1 이 무슨 뜻입니까
  지정한 명령어 처리 결과와 발생할지 모르는 에러메시지를 출력하지 않고 모두 버린다는(devnull)는
  뜻입니다. 만약 결과와 에러를 파일로 저장하려면 devnull 대신 파일명을 적어주면 됩니다.


 

예)

20  2         6  명령어 = 매주 토요일 새벽 220

0  4-6         명령어 = 매일 오후 4,5,6시

5  2      명령어 = 매일 2시간간격으로 5분대에

15  1   1      명령어 = 매월 1일 새벽 115

30  0   1  1,7    명령어 = 1,7월 1일 새벽 030


 

10 2    app11minsangAPPldaprun.sh  app11minsangAPPldapcron_error.log
 55 13    run.sh  mail_cron_error.log
 0,30 8-19    sendAdmin.sh  cron_admin_error.log

Posted by 랩퍼우
리눅스 (Linux)2015. 12. 24. 21:14



맨윗줄시스템의 가동 시간과 평균 부하의 숫자를 출력
top - 현재시간, 재부팅없이 운영중인 업타임시간, 로그인된 유저수, 1, 5, 15분에 대한 각각의 평균 부하율(load average)


load average : 작업의 대기시간을 말합니다. 값이 1이 나왔다면 1분동안 평균 1개 정도의 프로세서가 대기상태에 있다는 것입니다. 서버마다 차이가 있긴 하지만 5 정도면 서버가 부하를 받는 다고 생각합니다. 과부하는 10 ~ 15이상이면 과부하라고 봅니다


두번째줄현재 실행중인 프로세스들의 상황
tasks - 실행중인 전체 프로세스수(total), 실행중인 프로세스(run), 유휴상태의 프로세스(sleep), 정지된 프로세스(stop), 좀비 프로세스

세번째줄 : CPU의 사용에 대한 상황
cpu(s) - 사용자가 사용중인 cpu 사용률(us), 시스템이 사용중인 cpu 사용률(sy), nice정책에 의해 사용중인 cpu 사용률(ni), cpu 미사용률(id), 입출력 대기상태의 사용률(wa)

네번째줄메모리의 사용에 대한 상황


mem - 전체 물리적인 메모리(total), 사용중인 메모리(used), 사용되지 않는 여유 메모리(free), 버퍼된 메모리의 양(buffers)

다섯번째줄 : 스왑메모리의 사용에 대한 상황


swap-  전체 스왑 메모리(total), 사용중인 스왑 메모리(used), 남아있는 스왑메모리(free), 캐싱메모리(cached)

필드메뉴 설명


PID : 프로세스 ID (PID) 
USER : 프로세스를 실행시킨 사용자 ID 
PRI : 프로세스의 우선순위 (priority) 
NI : NICE . 일의 nice value값이다. 마이너스를 가지는 nice value는 우선순위가 높다.


VIRT : 가상 메모리의 사용량(SWAP+RES)


RES : 현재 페이지가 상주하고 있는 크기(Resident Size)


SHR : 분할된 페이지, 프로세스에 의해 사용된 메모리를 나눈 메모리의 총합.


S : 프로세스의 상태


%CPU : 프로세스가 사용하는 CPU의 사용율


%MEM : 프로세스가 사용하는 메모리의 사용율


TIME+ : 프로세스가 시작하여 사용한 총 CPU


Posted by 랩퍼우
리눅스 (Linux)2015. 12. 24. 21:13

CPU 프로세스들을 출력, 매초별로 시스템 상태와 대부분의 프로세스들을
refresh 해서 실시간으로 화면에 보여준다

Line 1 : 시스템의 현재 시간과, uptime, 사용자수, 평균부하
Line 2 : 프로세스 상태,
Line 3 : 사용자와 시스템, nice, 휴먼중인 프로세스의 cpu 사용시간
Line 4 : 메모리상태
Line 5 : 가상메모리, 스왑상태

10:27am up 5 days, 22:52, 2 users, load average: 0.00, 0.00, 0.00
48 processes: 47 sleeping, 1 running, 0 zombie, 0 stopped
CPU states: 0.5% user, 0.5% system, 0.0% nice, 98.8% idle
Mem: 127564K av, 107340K used, 20224K free, 102664K shrd, 63168K buff
Swap: 530104K av, 2484K used, 527620K free, 18840K cached

PID USER PRI NI SIZE RSS SHARE STAT %CPU %MEM TIME COMMAND
537 root 13 0 1048 1048 824 R 1.1 0.8 0:00 top
1 root 0 0 432 428 380 S 0.0 0.3 0:06 init
2 root 0 0 0 0 0 SW 0.0 0.0 0:00 kflushd
3 root 0 0 0 0 0 SW 0.0 0.0 0:06 kupdate
4 root 0 0 0 0 0 SW 0.0 0.0 0:00 kpiod
5 root 0 0 0 0 0 SW 0.0 0.0 0:02 kswapd


PID Process ID
USER 소유자
PRI Priority (우선순위)
NI Nice Value : -20∼19사이의 값으로 작을수록 우선순위가 높아진다
SIZE 프로세스의 코드와 데이터의 크기 (KB 단위)
RSS 프로세스가 사용하는 실제 메모리 양
SHARE 프로세스가 사용하는 공유 메모리의 양
STAT S: sleeping D: uninterruptible R: running Z: zombi T: stop or trace
%CPU CPU 사용시간 퍼센트
%MEM 메모리 사용 퍼센트
TIME 프로세스가 시작하여 사용한 총 CPU 시간
COMMAND 프로세스를 실행한 명령어 라인

[top을 실행 중, 명령 설명]
SPACE 화면을 갱신한다.
h 도움말
u 사용자별
k 프로세스 죽이기
M 메모리 사용율로 소팅

Posted by 랩퍼우
리눅스 (Linux)2015. 12. 24. 21:12

리눅스 네트워크 eth0 과 eth1 을 상호 교체하는 방법

리눅스에 2개의 네트워크 카드가 장착된 상태에서 eth0 와 eth1 과 연결된 네트워크 카드를 변경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etc/udev/rules.d/70-persistent-net.rules 파일에서 eth0 과 eth1 의 하드웨어 주소를 상호 교체한다.



# PCI device 0x15ad:0x07b0 (vmxnet3)
 SUBSYSTEM==”net”, ACTION==”add”, DRIVERS==”?*”, ATTR{address}==”00:50:56:b2:23:e0″, ATTR{type}==”1″, KERNEL==”eth*”, NAME=”eth0″



# PCI device 0x15ad:0x07b0 (vmxnet3)
 SUBSYSTEM==”net”, ACTION==”add”, DRIVERS==”?*”, ATTR{address}==”00:50:56:b2:23:e1″, ATTR{type}==”1″, KERNEL==”eth*”, NAME=”eth0″



2. /etc/sysconfig/network-scripts 폴더에 존재하는 ifcfg-eth0, ifcfg-eth1 파일에서 하드웨어 주소를 제거하거나 위의 설정과 동일하게 수정한다.

[출처] [CentOS] 리눅스 네트워크 eth0 과 eth1 을 상호 교체하는 방법|작성자 까미유


Posted by 랩퍼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