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베이스 (DB)2016. 4. 7. 19:02

xwindow와 vnc설정 후 오라클 설치 과정에서 vnc로 접속해 ./runInstaller 입력하면 ui창으로 인스톨 창이 나와야 하는데 콜솔창에서 글씨만 주구장창 나온다.

ui를 나오게 하기 위해서는 다음 처럼 작업을 진행 하면 된다.

su – oracle로 계정을 변경하고

cd database

./runInstaller실행시 아래와 같이 에러가 난다.

 

$./runInstaller

Starting Oracle Universal Installer…

 

Checking Temp space: must be greater than 120 MB.   Actual 44130 MB    Passed

 

Checking swap space: must be greater than 150 MB.   Actual 10047 MB    Passed

 

Checking monitor: must be configured to display at least 256 colors

 

    >>> Could not execute auto check for display colors using command /usr/bin/xdpyinfo. Check if the DISPLAY variable is set.    Failed <<<<

 

Some requirement checks failed. You must fulfill these requirements before

 

continuing with the installation,

 

Continue? (y/n) [n] y

 —————————->>>이렇게 나오면 안된다.

root user로 변경한 후  xhost +를 실행

#xhost +

 access control disabled, clients can connect from any host ->>나와도 상관없음.

#xclock(화면에 UI로 아날로그 시계가 뜬다. 시계를 닫고)

#xterm(다른 화면으로 터미널이 뜬다. user는 root이다.)

#xclock (다시 시계가 뜨는지 확인후 시계를 닫는다.)

#echo $DISPLAY(display를 확인한다.)

:0

 

#su – oracle(오라클 계정으로 변경)

$xclock(시계가 뜨는지 확인한다.- 아마도 에러가 날것이다.)

Error: can’t open display

 

$export DISPLAY=:0(DISPLAY 값을 root계정의 DISPLAY 값과 동일하게 맞춰 준다.)

$xclock (다시 시계가 뜨는지확인)

$./runInstaller

정상적으로 실행이되어 화면이 나온다

Posted by 랩퍼우
데이터베이스 (DB)2016. 3. 4. 16:31
mysql errorlog는 mysqld 의 시작과 종료 시점을 표시해 주며, mysqld 가 동작중에 발생하는 critical 에러를 기록 한다. mysqld가 자동으로 검사 또는 repair 해야할 테이블을 발견할 경우 기록한다.

1. errorlog 활성화>

- mysql errorlog는 default로 활성화 되어 있으며, mysql 데이터 디렉토리내에 "호스트명.err" 형태로 기록된다. errorlog 파일의 경로나 파일명을 변경하려면 my.cnf에 아래와 같이 경로를 설정한 후 mysql 데몬을 리스타트 한다.
[mysqld]
port = 3306
socket = /tmp/mysql.sock
back_log = 50
max_connections = 100
max_connect_errors = 10
table_open_cache = 2048
max_allowed_packet = 16M
binlog_cache_size = 1M
max_heap_table_size = 64M
read_buffer_size = 2M
~
log-bin=mysql-bin
binlog_format=mixed
log
log-error = /var/log/mysql.err -> 로그파일을 저장할 경로 지정
slow_query_log
long_query_time = 2
~

2. mysql errorlog 확인

- mysqld start, stop시에 발생하는 error, warning 메시지가 모두 기록되며, mysql운영중에 발생하는 에러나 테이블이 깨진 경우도 모두 로그에 기록된다.
[root@localhost log]# cat mysql.err
130226 13:37:46 [Note] /home/mysql/bin/mysqld: Normal shutdown
130226 13:37:46 [Note] Event Scheduler: Purging the queue. 0 events
130226 13:37:46 InnoDB: Starting shutdown...
130226 13:37:46 InnoDB: Shutdown completed; log sequence number 1595675
130226 13:37:46 [Note] /home/mysql/bin/mysqld: Shutdown complete
130226 13:37:46 mysqld_safe mysqld from pid file /home/mysql/data/localhost.localdomain.pid ended
130226 13:37:47 mysqld_safe Starting mysqld daemon with databases from /home/mysql/data
130226 13:37:47 [Warning] option 'slow_query_log': boolean value '/var/log/mysql_slow.log' wasn't recognized. Set to OFF.
130226 13:37:47 InnoDB: The InnoDB memory heap is disabled
130226 13:37:47 InnoDB: Mutexes and rw_locks use GCC atomic builtins
130226 13:37:47 InnoDB: Compressed tables use zlib 1.2.3
130226 13:37:47 InnoDB: Initializing buffer pool, size = 512.0M
130226 13:37:47 InnoDB: Completed initialization of buffer pool
130226 13:37:47 InnoDB: highest supported file format is Barracuda.
130226 13:37:47 InnoDB: Waiting for the background threads to start
130226 13:37:48 InnoDB: 1.1.8 started; log sequence number 1595675
130226 13:37:48 [Note] Server hostname (bind-address): '0.0.0.0'; port: 3306
130226 13:37:48 [Note] - '0.0.0.0' resolves to '0.0.0.0';
130226 13:37:48 [Note] Server socket created on IP: '0.0.0.0'.
130226 13:37:48 [Note] Event Scheduler: Loaded 0 events
130226 13:37:48 [Note] /home/mysql/bin/mysqld: ready for connections.
Version: '5.5.28-log' socket: '/tmp/mysql.sock' port: 3306 Source distribution
[root@localhost log]#


Posted by 랩퍼우
데이터베이스 (DB)2015. 12. 25. 00:19

1. 고려사항
 * HA 구성을 위해서 고려해야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 동일한 플랫폼에서만 구현이 가능하며, LINUX, AIX 에서만 HA를 사용할 수 있다.
  - 저장 장치를 공유하지 않는, 별개의 데이터베이스로 구성되어 있어 상호간에 복제를 기반으로 동작한다. 따라서 복제를 위해 모든 테이블에 반드시 기본키(primary key)가 존재하여야 한다.
  - LOB 데이터는 복제가 되지 않으므로, CLOB 의 경우 string(varchar 1G 크기)을 사용하고, BLOB 인 경우 bit varying을 사용한다. bit varying을 이용한 BLOB 구현 방법은 큐브리드사의 FAQ를 참조하면 된다.
 
2. HA 구성 방법 (최초)
 * HA 구성은 다음 순서로 진행하며, 아래 예시는 다음을 가정한다.
  - hostname : active -> db_A, stand by -> db_S
  - IP address : active -> 192.168.0.10, stand by -> 192.168.0.11
  - 각 서버에서의 명령을 구분하기 위해 prompt 에 hostname을 병행 표기
  - 데이터베이스 이름 : mydb
  - 데이터베이스 디렉토리 : /NCIA/DB/mydb
  - 데이터베이스 로그는 데이터베이스와 동일한 디렉토리에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만약 다른 경우 백업 수행시 로그디렉토리에 백업 관련 파일들이 생성된다.
  - 모든 작업은 cubrid 계정에서 진행
 2-1. stand by 서버를 준비하고, active 서버와 동일한 계정(cubrid)을 생성하여 CUBRID를 설치한다.
 2-2. 각 서버(active, stand by)의 hostname과 IP address에 대한 정보가 올바로 설정되어있는지 확인한다. 만약 hostname 이 없다면 hostname 은 반드시 설정하여야 한다.
  - 각 서버의 /etc/hosts 상에 각 서버에 대한 정보가 모두 올바르게 저장되어야 한다. 다음은 올바른 예시이다.
    192.168.0.10 db_A
 192.168.0.11 db_S
 2-3. 데이터베이스에 관련된 디렉토리는 active 서버와 동일하게 구성한다.
    db_S% mkdir /NCIA/DB/mydb
    db_S% mkdir /NCIA/BACKUP/mydb
 2-4. active 서버의 CUBRID 서비스를 중단한다.
    db_A% cubrid service stop
 2-5. active 서버의 데이터베이스를 백업한다.
    db_A% cubrid backupdb -S -r -z mydb
 2-6. 백업 파일을 stand by 서버로 ftp 등을 이용하여 전송한다. 전송은 active 서버와 동일한 위치로 한다. 전송 대상 파일은 다음과 같다.
    /NCIA/DB/mydb/mydb_bk*
 2-7. active server 의 데이터베이스 정보 파일을 HA 환경에 맞게 수정한다. 아래 붉은색으로 표시된 부분이 수정된 부분이다.
    db_A% vi $CUBRID_DATABASES/databases.txt
 mydb /NCIA/DB/mydb db_A:db_S /NCIA/DB/mydb file:/NCIA/mydb/lob
 2-8. stand by 서버에 백업된 데이터베이스를 복구하기 위해 데이터베이스 정보를 만들어 준다. 위에서와 동일한 파일을 동일한 내용으로 만들어 주면 된다.
    db_S% vi $CUBRID_DATABASES/databases.txt
 mydb /NCIA/DB/mydb db_A:db_S /NCIA/DB/mydb file:/NCIA/DB/mydb/lob
 2-9. stand by 서버에서 데이터베이스의 복구를 수행한다. active 서버와 동일한 데이터베이스를 만들기 위해 수행하는 작업이다.
    db_S% cubrid restoredb mydb
 2-10. HA를 사용하기 위해 설정화일을 수정한다. active 서버와 stand by 서버 모두 동일하게 수정하여야 한다.
    db_A% vi $CUBRID/conf/cubrid.conf
 service=heartbeat,broker,manager
 ha_mode=on
 log_max_archives=20
 force_remove_log_archives=no
 db_A% vi $CUBRID/conf/cubrid_ha.conf
 ha_mode=on
 ha_port_id=59901
 ha_node_list=cubrid@db_A:db_S
 ha_db_list=mydb
 2-11. 서비스를 구동한다. 먼저 구동되는 쪽에 active 서버가 되므로, db_A에서 서버를 먼저 구동한후, 정상적으로 구동되면 db_S를 구동한다.
    db_A% cubrid service start
 2-12. HA 상태를 확인하여, db_A가 active, db_S가 stand by 로 나오면 정상적으로 구동된 것이다.
    db_A% cubrid heartbeat status
 HA-Node Info (current db_A, state master)
 Node db_S (priority 2, state slave)
 Node db_A (priority 1, state master)
 
3. HA 재구성 방법
 * HA를 다시 구성하는 방법을 소개한다.
 3-1. active 서버와 stand by 서버의 서비스를 모두 중단한다. stand by 서버를 먼저 종료하여야 한다. active 서버를 먼저 종료하면 절체가 발생하므로 데이터 불일치가 발생할 수 있다.
    db_S% cubrid service stop
 db_A% cubrid service stop
 3-2. 데이터베이스 내부에 존재하는 HA 설정 정보를 삭제한다. dba 계정에 대한 암호를 물어올 것이므로, dba 암호를 입력하여야 한다.
    db_A% csql -u dba -S --sysadm -c "delete from db_ha_apply_info" mydb
 3-3. active 서버의 데이터베이스를 백업한다. 만약 백업중 기존 백업이 존재한다고 메시지가 나오면, y를 입력하여 기존 백업을 삭제하고 새로이 백업을 하도록 한다.
    db_A% cubrid backupdb -S -r -z mydb
 3-4. stand by 서버의 데이터베이스 파일을 삭제한다.
    db_S% rm /NCIA/DB/mydb/*
 3-5. 백업 파일을 stand by 서버로 ftp 등을 이용하여 전송한다. 전송은 active 서버와 동일한 위치로 한다. 전송 대상 파일은 다음과 같다.
    /NCIA/DB/mydb/mydb_bk*
 3-6. stand by 서버에서 데이터베이스의 복구를 수행한다.
    db_S% cubrid restoredb mydb
 3-7. active 서버의 데이터베이스 복제 로그를 삭제한다.
    db_A% rm -rf $CUBRID_DATABASES/mydb_db_S
 3-8. stand by 서버의 데이터베이스 복제 로그를 삭제한다.
    db_S% rm -rf $CUBRID_DATABASES/mydb_db_A
 3-9. 서비스를 구동한다. 먼저 구동되는 쪽에 active 서버가 되므로, db_A에서 서버를 먼저 구동한후, 정상적으로 구동되면 db_S를 구동한다.
    db_A% cubrid service start
 3-10. HA 상태를 확인하여, db_A가 active, db_S가 stand by 로 나오면 정상적으로 구동된 것이다.
    db_A% cubrid heartbeat status
 HA-Node Info (current db_A, state master)
 Node db_S (priority 2, state slave)
 Node db_A (priority 1, state master)
 
 

Posted by 랩퍼우
데이터베이스 (DB)2015. 12. 24. 21:09


-- ORA-28000: the account is locked 오류시
-- 여러 차례 로그인 실패시 또는 30일동안(Default) 해당 계정으로 로그인을 하지 않았을 경우 lock 걸림

1) Unix 시스템
 # sqlplus "/as sysdba"  로 접속

2) Windows 시스템
C:\>sqlplus system/비밀번호@접속DB명 as sysdba
-- 또는 --
C:\>sqlplus /nolog
SQL> conn system/비밀번호@접속DB명 as sysdba
-- 비밀번호는 아무거나 입력해도 통과됨.
연결되었습니다.
세션이 변경되었습니다.
SQL> show user
USER은 "SYS"입니다
SQL>

-- lock 걸린 User 찾기
SELECT username, account_status, to_char(lock_date,'yy/mm/dd hh24:mi') lock_date, profile
  FROM dba_users;
 
-- Lock 풀기 (유저가 system 일 경우)
ALTER USER SYSTEM account unlock;

-- 패스워드 변경
ALTER USER SYSTEM IDENTIFIED BY manager;


# 아래 내용 출처
http://blog.naver.com/steel_cat?Redirect=Log&logNo=40101605344

1. 먼저 lock 확인을 한다.

 -- lock 걸린 SERIAL_NO,SESSION_ID, OBJECT
SELECT DISTINCT t1.session_id AS session_id
               ,t2.serial# AS serial_no
               ,t1.os_user_name AS os_user_name
               ,t1.oracle_username AS oracle_username
               ,t2.status AS status
               ,t3.object_name
               ,DECODE( locked_mode
                       ,2, 'ROW SHARE'
                       ,3, 'ROW EXCLUSIVE'
                       ,4, 'SHARE'
                       ,5, 'SHARE ROW EXCLUSIVE'
                       ,6, 'EXCLUSIVE'
                       ,'UNKNOWN'
                      ) lock_mode
           FROM v$locked_object t1, v$session t2, dba_objects t3
          WHERE t1.session_id = t2.SID
            AND t1.object_id = t3.object_id;
 
2. 위 쿼리에서 확인한 session_id를 *SESSION_ID*에 넣으면 어떤 sql을 사용해서 lock이 걸렸는지 확인 할 수있다.

-- lock 걸린 sql
SELECT   b.username username
        ,c.SID AS session_id
        ,c.owner object_owner
        ,c.OBJECT OBJECT
        ,b.lockwait
        ,a.sql_text SQL
        ,piece
    FROM v$sqltext a, v$session b, v$access c
   WHERE a.address = b.sql_address
     AND a.hash_value = b.sql_hash_value
     AND b.SID = c.SID
     AND c.owner != 'SYS'
     and c.SID = '*SESSION_ID*'
ORDER BY b.username, c.SID, c.owner, c.OBJECT, piece;
  
3. 아래 쿼리 *SESSION_ID*,*SERIAL_NO* 부분에 위 1번 쿼리에서 확인한 session_id,serial_no을 사용하여 lock 걸린 session을 kill 한다.

 -- lock 걸린 SESSION kill
alter system kill session 'SESSION_ID ,SERIAL_NO' ;

4. 3번의 alter system kill session을 사용하여도 죽지 않는 경우 아래 쿼리를 사용하여 PROCESS ID를 확인하여 unix에서 직접 PROCESS를 kill한다.
   * 주의!!! 실수하기 쉽고 위험한 방법으로 lock걸린 내용을 정확히 알지 못할 경우 kill하지 말것!!!

 -- lock 걸린 PROCESS ID 찾기
SELECT DISTINCT s.username "ORACLE USER"
               ,p.pid "PROCESS ID"
               ,s.SID "SESSION ID"
               ,s.serial#
               ,osuser "OS USER"
               ,p.spid "PROC SPID"
               ,s.process "SESS SPID"
               ,s.lockwait "LOCK WAIT"
           FROM v$process p, v$session s, v$access a
          WHERE a.SID = s.SID
            AND p.addr = s.paddr
            AND s.username != 'SYS'

 -- unix에 로그인 하여 process kill
kill -9 프로세스아이디

Posted by 랩퍼우
데이터베이스 (DB)2015. 12. 24. 19:58

데이터 내보내기


 

1. 데이터를 내보낼 테이블을 선택한 후 [데이터 내보내기]를 실행합니다.


 

 

  

 


 


2. 내보낼 파일의 옵션을 설정합니다.

 


 

 

# 구분 식별자: 내보낸 데이터들 사이에 탭 또는 쉼표를 삽입합니다.

# 고정 너비: 내보낸 데이터들 사이에 공백을 삽입합니다.

# 필드 구분 기호: 내보낸 데이터들 사이에 기호를 삽입할 경우 어떤 기호를 삽입할 것인지를 설정합니다.

# 레코드 구분 기호: 각 레코드를 구분할 때 개행 문자 LineFeed(LF, \n), CarriageReturn(CR, \r) 중 어떤 것으로 할 것인지를 설정합니다. Windows에서는 개행 문자로 \r\n만 인식합니다.

# 텍스트 한정자: 각 필드를 해당 기호로 둘러쌉니다.



3. 내보낼 폴더를 선택하고 파일명을 지정한 후 저장합니다.


 

 

# 각 파일별 레코드 수: 파일 저장 시 하나의 파일에 저장할 레코드 수의 최대값을 설정합니다. 최대값을 초과할 경우 파일이 하나씩 더 추가됩니다.

# 내보낸 후 작업: 파일을 내보낸 후 내보낸 파일을 바로 열 것인지를 설정합니다.




 

 

 

 

 

 

 

데이터 가져오기


 

1. 데이터를 가져올 테이블을 선택한 후 [데이터 가져오기]를 실행합니다.


 

  

 



 


 

2. 가져올 파일을 선택한 후 [다음] 버튼을 누르면 파일 옵션 설정 창이 뜹니다.

가져올 데이터들 중 각 필드들을 어떤 방법으로 구분할 것인지를 설정합니다.

 

 



 

3. 가져올 파일을 선택한 후 [다음] 버튼을 누르면 추가 옵션 설정 창이 뜹니다. 

내보낸 데이터들 중 어떤 데이터를 가져올 것인지, 데이터를 어떻게 표시할 것인지를 설정합니다.

 

 



 

4. 내보낸 csv 파일의 열과 대상 테이블의 열을 일치시킵니다.

[자동 열 매핑] 버튼을 누르면 소스 파일과 대상 테이블의 열을 자동으로 매핑합니다.

대상 테이블의 열이 복수일 경우 어떤 열에 데이터를 매핑시킬 것인지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5. 소스 파일과 대상 테이블의 필드를 일치시키는 작업입니다. 자동으로 매핑한 열 이외의 열에 데이터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6. 최종적으로 추가될 데이터를 확인합니다.

 

 



 

7. 가져오기를 [실행]합니다.

 

 

열 매핑 과정에서 키 확인란을 체크하면 업데이트, 추가/업데이트, 삭제, 새로 추가 옵션이 활성화됩니다.

 

 

 



8. [실행] 버튼을 누르면 처리 결과를 표시하는 알림창이 뜨고 진행이 완료됩니다.

 

 

 

 

 

Posted by 랩퍼우
데이터베이스 (DB)2015. 12. 24. 19:57

데이터 내보내기


 

 

 

1. 데이터를 내보낼 테이블을 선택한 후 [데이터 내보내기]를 실행합니다.


 

 

  

 



 

 

2. 내보낼 파일의 옵션을 설정합니다.

 

 

 

# 구분 식별자: 내보낸 데이터들 사이에 탭 또는 쉼표를 삽입합니다.

# 고정 너비: 내보낸 데이터들 사이에 공백을 삽입합니다.

# 필드 구분 기호: 내보낸 데이터들 사이에 기호를 삽입할 경우 어떤 기호를 삽입할 것인지를 설정합니다.

# 레코드 구분 기호: 각 레코드를 구분할 때 개행 문자 LineFeed(LF, \n), CarriageReturn(CR, \r) 중 어떤 것으로 할 것인지를 설정합니다. Windows에서는 개행 문자로 \r\n만 인식합니다.

# 텍스트 한정자: 각 필드를 해당 기호로 둘러쌉니다.



 

 

3. 내보낼 폴더를 선택하고 파일명을 지정한 후 저장합니다.

 

 

 

# 각 파일별 레코드 수: 파일 저장 시 하나의 파일에 저장할 레코드 수의 최대값을 설정합니다. 최대값을 초과할 경우 파일이 하나씩 더 추가됩니다.

# 내보낸 후 작업: 파일을 내보낸 후 내보낸 파일을 바로 열 것인지를 설정합니다.



 

 

 

 

 

데이터 가져오기


 

1. 데이터를 가져올 테이블을 선택한 후 [데이터 가져오기]를 실행합니다.


 

  


 



 

2. 가져올 파일을 선택한 후 [다음] 버튼을 누르면 파일 옵션 설정 창이 뜹니다.

내보낼 데이터들 중 각 필드들을 어떤 방법으로 구분할 것인지를 설정합니다.

 

 


 


 

3. 가져올 파일을 선택한 후 [다음] 버튼을 누르면 추가 옵션 설정 창이 뜹니다.

내보낸 데이터들 중 어떤 데이터를 가져올 것인지, 데이터를 어떻게 표시할 것인지를 설정합니다.

 

 



 

4. 내보낸 text 파일의 열과 대상 테이블의 열을 일치시킵니다.

[자동 열 매핑] 버튼을 누르면 소스 파일과 대상 테이블의 열을 자동으로 매핑합니다.

대상 테이블의 열이 복수일 경우 어떤 열에 데이터를 매핑시킬 것인지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5. 소스 파일과 대상 테이블의 필드를 일치시키는 작업입니다. 자동으로 매핑한 열 이외의 열에 데이터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6. 최종적으로 추가될 데이터를 확인합니다.

 

 



 

7. 가져오기를 실행합니다.

 

 

열 매핑 과정에서 키 확인란을 체크하면 업데이트, 추가/업데이트, 삭제, 새로 추가 옵션이 활성화됩니다.

 

 

 



 

8. [실행] 버튼을 누르면 처리 결과를 표시하는 알림창이 뜨고 진행이 완료됩니다.


 

 

 

Posted by 랩퍼우
데이터베이스 (DB)2015. 12. 24. 19:56

데이터 내보내기


 

1. 데이터를 내보낼 테이블을 선택한 후 [데이터 내보내기]를 실행합니다.


  

 


 


2. 내보낼 폴더를 선택하고 파일명을 지정한 후 저장합니다.


# 각 파일별 레코드 수: 파일 저장 시 하나의 파일에 저장할 레코드 수의 최대값을 설정합니다. 최대값을 초과할 경우 파일이 하나씩 더 추가됩니다.

 

# 내보낸 후 작업: 파일을 내보낸 후 내보낸 파일을 바로 열 것인지를 설정합니다.




데이터 가져오기


1. 데이터를 가져올 테이블을 선택한 후 [데이터 가져오기]를 실행합니다.


 

  

 


 


2. 가져올 파일을 선택한 후 [다음] 버튼을 누르면 추가 옵션 설정 창이 뜹니다.

엑셀로 내보낸 데이터들 중 어떤 데이터를 가져올 것인지, 데이터를 어떻게 표시할 것인지를 설정합니다.


 


 


3. 내보낸 엑셀 파일의 열과 대상 테이블의 열을 일치시킵니다. [자동 열 매핑] 버튼을 누르면 소스 파일과 대상 테이블의 열을 자동으로 매핑합니다.

대상 테이블의 열이 복수일 경우 어떤 열에 데이터를 매핑시킬 것인지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 자동 열 매핑

 

[자동 열 매핑] 버튼을 누르면 엑셀 파일의 데이터들을 대상 테이블과 자동으로 매핑합니다.


 

  

 


 


4. 소스 파일과 대상 테이블의 필드를 일치시키는 작업입니다. 자동으로 매핑한 열 이외의 열에 데이터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5. 최종적으로 추가될 데이터를 확인합니다.


 



6. 가져오기를 실행합니다.


 

열 매핑 과정에서 키 확인란을 체크하면 업데이트, 추가/업데이트, 삭제, 새로 추가 옵션이 활성화됩니다.


 



7. [실행] 버튼을 누르면 처리 결과를 표시하는 알림창이 뜨고 진행이 완료됩니다.


 

 

Posted by 랩퍼우
데이터베이스 (DB)2015. 12. 24. 19:54

데이터 내보내기


 

1. 내보내기할 테이블을 선택한 후 [데이터 내보내기]를 실행합니다.

 

  

 



2. SQL 스크립트 설정을 지정합니다.

 

 

# 필드 이름 문자 집합: 내보낼 sql파일에서 필드명의 대/소문자를 어떻게 표시할 것인지를 지정합니다.

# SQL: 커밋 문자, 데이터값을 둘어싸게될 문자열, 각 sql문을 구분할 문자열 등을 지정합니다.



 

 

 

 

3. 파일 저장 경로 및 인코딩 방식 등을 설정합니다.

 

 

# 각 파일별 레코드 수: 파일 저장 시 하나의 파일에 저장할 레코드 수의 최대값을 설정합니다. 최대값을 초과할 경우 파일이 하나씩 더 추가됩니다.

# 내보낸 후 작업: 파일을 내보낸 후 내보낸 파일을 바로 열 것인지를 설정합니다.



 

 

 

데이터 가져오기


 

 

1. 내보낸 sql 파일을 SQL 쿼리 편집기에서 불러옵니다.

 

 

 



 

2. SQL 쿼리 편집기에서 가져올 테이블의 이름을 변경합니다.

변경하려는 문자열에 커서를 올린 후 바꾸기 창을 띄우면 자동으로 찾을 내용에 해당 문자열이 입력됩니다.

 

 



 

3. 테이블명이 변경되면 SQL문을 실행합니다.

 

 


 

4. 정상적으로 데이터를 가져왔는지 확인합니다.

 

Posted by 랩퍼우
데이터베이스 (DB)2015. 12. 24. 19:53

데이터 내보내기


1. 데이터를 내보낼 테이블을 선택한 후 [데이터 내보내기]를 실행합니다.


 

 

  

 


   

 

 

2. 내보낼 폴더를 선택하고 파일명을 지정한 후 저장합니다.


 

 

# 각 파일별 레코드 수: 파일 저장 시 하나의 파일에 저장할 레코드 수의 최대값을 설정합니다. 최대값을 초과할 경우 파일이 하나씩 더 추가됩니다.

# 내보낸 후 작업: 파일을 내보낸 후 내보낸 파일을 바로 열 것인지를 설정합니다.

 

 

 

 

 



데이터 가져오기

 


1. 데이터를 가져올 테이블을 선택한 후 [데이터 가져오기]를 실행합니다.

 

 

  

 


 

 

 

 

2. 가져올 파일을 선택한 후 [다음] 버튼을 누르면 자동 열 매핑 창이 뜹니다. dbf 파일의 열과 대상 테이블의 열을 일치시킵니다.

[자동 열 매핑] 버튼을 누르면 소스 파일과 대상 테이블의 열을 자동으로 매핑합니다.

대상 테이블의 열이 복수일 경우 어떤 열에 데이터를 매핑시킬 것인지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3. 소스 파일과 대상 테이블의 필드를 일치시키는 작업입니다. 자동으로 매핑한 열 이외의 열에 데이터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4. 최종적으로 추가될 데이터를 확인합니다.


 


 

 

5. 가져오기를 [실행]합니다.

 

 

 


열 매핑 과정에서 키 확인란을 체크하면 업데이트, 추가/업데이트, 삭제, 새로 추가 옵션이 활성화됩니다.

 

 

 



 

6. [실행] 버튼을 누르면 처리 결과를 표시하는 알림창이 뜨고 진행이 완료됩니다.


 

 

Posted by 랩퍼우
데이터베이스 (DB)2015. 12. 24. 19:52

그리드의 글꼴을 바꾸거나 크기를 바꿀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1.  그리드에서 오른쪽 마우스를 선택하고 [그리드 옵션]을 선택합니다.
 

 


2. [그리드 스타일]을 체크합니다.

3. 그리드 스타일 콤보박스에서 "DEFAULT"를 선택합니다.


 


4. 새 스타일을 선택합니다.

5. 스타일 이름을 입력합니다.

6. [OK] 버튼을 누르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타납니다.



 


7. 그리드 데이터의 글자 크기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content"를 선택합니다.

8. [Font]를 체크하고 [...] 버튼을 클릭합니다.


 


9. 글자의 크기를 선택합니다.

10. [확인] -> [Ok] -> [적용] 버튼을 클릭합니다.


 


Posted by 랩퍼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