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X 서버2016. 3. 7. 17:02


errpt
errpt -a
errpt > /tmp/errlog
errpt -a >> /tmp/errlog
errclear 0

error report 를 확인하고, 발생 에러의 자세한 정보를 보고, 그 에러들을 따로 저장한뒤 errpt를 clear

lsps -a (paging 확인)
lsmcoed (펌웨어 버전확인)
oslevel -r (os 버전확인)
lsdev -Cc disk (physical disks 확인)
lsdev -Cc memory (memory 확인)
lsttr -El mem0 (memory 확인)
lsattr -El mem0 a goodsize (memory goodsize 확인)
lsdev -Cc processor (물리적인 cpu의 갯수 확인)
bindprocessor -q (현재 동작중인 프로세서 갯수)
topas (4.3 버전은 topas, 4.2 이하 버전은 top 시스템 성능 정보 확인)
lsdev -Cc adapter
(Ethernet -SX: 광)
(Base -TX : UDP 케이블)
(FCAdapter : SAN 스위치)
(LPARAdapter virtual serial) -LPA 로 나뉜 하나의 서버(두개의 파티션) 끼리 통신하기 위한 가상 아답터)
lsvg
lsvg -o
lsvg -l
bootlist -m normal -o (boot 가능한 disk 확인)
lscfg -vp | grep -p 'alter' (lscft : 부품들의 자세한 정보 확인)
no -a (Infortant Network Option Values)
(no -a | grep thewall
no -a | grep sb_max
no -a | grep tcp_sendspace
no -a | grep tcp_recvspace
no -a | grep udp_sendspace
no -a | grep udp_recvspace
no -a | grep rfc 1323
no -a | grep tcp_mssdflt
no -a | grep ipforwarding)
uname -M (System Model)
uname -m (Macine ID)
uname -u (System ID)
uname -au(All Information)
lsattr -E -H -I sys0 (System Attributes)
instfix -i | grep AIX_ML (AIX maintenance Level Check)

lsdev -C -H

lsslot -c pci (pci hot plug slot 나열 : not plug - rebooting 이나 down 없이 이동 가능한 개체)
lsfs -l (file system list)
netstat -nr
ippchk -v (file set 버전 일관성 검사)
alog -o -f /var/adm/ras/booting (booting log 확인)
vmstat -s (프로세서 상태,메모리 사용량, 디스크 입출력, CPU 사용량 통계)
iostat -a 5 10 (I/O에 대한 통계를 5초 단위로 10번출력)
sar -P ALL 5 10
ps aux | head -1; ps aux | sort -rn +2 | head -10
svmon -메모리의 현재 상태에 대한 정보 (단위는 page 단위)
svmon -G : 메모리 실제할당해서 사용하는 량
svmon -P : 시스템 프로세스별 메모리 통계확인
svmon -F : 메모리 사용량을 % 로 확인

AIX 성능 점검


CPU

. %sys + %user 가 80% 이상이면 병목으로 판단
- sys : kernel 부분이 수행되는 영역, 프로세스 스케줄링, I/O, drive, network과 관련
- wait : 디스크 I/O 작업이 끝날 때가지 기다리는 idle time
- user : 사용자 프로세스, application, database등
- idle

. 모니터링 명령어
# sar 1 5 : 1초 5회 평균 CPU 사용율
# sar -P ALL 1 5 : 각 Processor 별 사용율
# sar -q 1 5 : 시스템에서 사용한 평균 queue 및 process 표시
- runq-sz : 수행되고 있는 kernel thread의 평균 수
- %runocc : queue 가 실행된 시간의 백분율
- swpq-sz : wait 상태인 kernel thread의 평균 수
- swpocc : swap 상태인 시간의 백분율
# vmstat 1 5 : cpu 및 memory 사용율
- r : 수행중인 kernel thread 수
- b : swap에 대기중인 kernel thread 수
# ps aux
- %CPU : 프로세스가 수행된 후 사용한 CPU 시간을 전체 경과시간으로 나눈 백분율
- %MEM : 프로세스가 수행될 때 사용한 실 메모리 백분율
- SZ : 프로세스의 data 영역을 위해 할당된 virtual page size로 1Kbyte 단위
- RSS : 프로세스의 실 메모리 크기 1Kbyte 단위

Memory

. paging space In/Out이 10 이상이거나 page fault가 1000번 이상 발행하면 병목으로 판단
. memory 부족인지 user application이나 file cache에 의한 것인지 고려
- free : file cache나 프로세스가 사용하고 있지 않는 영역
- fie cache : 사용 가능한 메모리를 파일 작업시 I/O 성능 향상을 위해 cache로 사용
- paging(4KB) : 실 메모리가 부족한 경우 발생, 실 메모리에서 사용되지 않았던 영역을 디스크로 옮기고
그 부분을 free 영역으로 전환하여 process를 처리
- page fault : kernel이 필요한 data나 process의 페이지를 실 메모리에서 찾지 못하는 횟수
- page In : 필요한 page만큼 virtual memory manager(VMM)에 의해 paging space에서 read하는 초당 횟수
page out 값에 따라 발생하는 real I/O 값
- page Out : 실 메모리 free 영역 확보를 위해 VMM이 paging space에서 read out하는 초당 회수
page in 값에 따라 발생하는 real I/O 값
- page space In : paging 영역에서만 발생하는 page read
- page space out : paging 영역에서만 발생하는 page out

. 모니터링 명령어
# vmstat 1 5
- avm : 프로세스가 수행되는 동안 paging 공간에 할당된 active virtual page
- fre : VMM이 필요시 사용할 수 있는 memory free list
- re : page input/output list
- pi : paging space에서 read in 된 page
- po : paging space에서 read out 된 page
- fr : paged freed(page replacement)
- sr : page-replacement 알고리즘에 따라 page 찾기
- cy : page-replacement 알고리즘에 따른 clock cycle
# svmon -G
- memory : 실 메모리 사용 통계
. size
. inuse : 프로세스나 file cache로 사용되는 메모리
. free
. pin : pinned 영역에서 사용되는 메모리
. virtual : virtual 영역에 할당된 메모리
- pg sapce : paging 영역의 사용 통계
. size
. inuse
- pin : pinned 영역의 사용 통계
. work : working(프로세스) 메모리 중 pinned 영역에서 사용되는 메모리
. pers : persistent(file cache) 메모리 중 pinned 영역에서 사용되는 메모리
. clnt : client(NFS, cd) 메모리 중 pinned 영역에서 사용되는 메모리
- in use : 실 메모리 사용 통계
. work 
. pers
. clnt

DISK I/O

. %iowait가 40% 이상이거나 사용자 application에 의해 특정 disk의 %tm_act가 70%를 초과하는 경우 병목으로 판단
- read : 초당 read 하는 데이터 크기 1Kbyte 단위
- write
- busy% : 디스크에 작업한 시간을 경과 시간으로 나눈 백분율

. 모니터링 명령어
# iostat
- %tm_act : 물리적 디스크에서 작업한 시간의 백분율
일반적으로 40%를 초과하게 되면 I/O를 완료하는 시간이 길어져 응답시간이 증가
- Kbps : 초당 디스크에 이동된 데이터 양 Kbype 단위
- tps : 초당 디바이스 드라이브 단계에서 해당 물리적 디스크로 I/O를 요청하는 횟수
- Kb_read : 물리적 디스크에 read한 양 Kbyte 단위
- Kb_wrtn : 물리적 디스크에 write한 양 Kbypte 단위

Network Traffic

. network bandwidth의 30% 이상을 사용하는 경우 병목으로 판단
- read
- write

. 모니터링 명령어
# netstat -m
# netstat -v
# netstat -ni

topas 명령어를 이용한 모니터링


1. CPU

. Kernel : CPU의 현재 사용량, 70이 넘어가면 점검 필요
. User : 각 프로세스들이 사용하는 CPU 사용량
. Wait : 처리 대기중인 프로세스의 양(10미만)
. Idle :

2. Memory

. Real,MB : 메모리의 실제 크기(MByte)
. %Comp : 현재 메모리 사용율이며, 높을수록 좋다
. %Noncomp : file cache로 할당된 영역
. %Client : aix의 file system을 위한 영역

3. Paging Space
. Size,MB : Paging Memory로 할당된 크기
. %Used : 사용중인 양, 낮을수록 좋다
. %Free

=================================================

# uname –amML : 서버 정보 확인
# uname -L : 서버 시리얼넘버 확인
# oslevel –s : OS버전확인(TL SP확인)
# instfix –i |grep ML(and SP) : OS버전 확인
# ls –al .*Com* : 패치 확인
# lsattr –El mem0 : 메모리 용량 확인
# topas : 시스템(프로세스, 메모리, 네트워크) 체크.
# lsdev –Cc disk : 디스크 확인
# lspv : 디스크 활성상태확인
# lsvg –l [볼륨그룹명] : 볼륩그룹 확인

# ifconfig – a : ip정보확인
# netstat –rn : 라우트 정보 확인 (디폴트게이트웨이 확인)
# ping [IP or Host Name] : ip 접근확인
# lsdev –Cc if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확인
# lsdev –Cc adapter : 네트워크 카드 확인
# lsdev –Cc pci : pci슬롯 확인.
# lscfg –v : FRU 확인. (lsdev –Cc, lsdev –P) 
# lsconf : 장치정보
# df –k : 파일시스템 용량체크 [ -k (kilo bytes), -m (mega bytes), -g (giga bytes) ]
# lsdev –Cc processor : 프로세tm 수 확인
# ps –ef | grep [ Process Name or Pid] : 실행중인 프로세스 검색
# du –sk * : 하위 디렉토리 및 파일 용량정보 출력

=================================================

****************** IBM bundles install. ****************************

#vi /usr/sys/inst.data/user_bundles/MyBundle.bnd
I:sysmgt.websm.security. // write the file which you want to install.

#smitty easy_install

// select Mybundle which you've made and Enter.

lslpp -Lb Mybundle // verify whethere bundle was installed successfully.

smitty list_installed // verify what is installed in server.

******************** AIX 용량 확장하기 ******************************
lsvg rootvg
chfs -a size=+100M /

******************** AIX 네트워크 설정하기 **************************
smit chgenet
smitty mktcpip -> N/W interface 선택

******************** 파일셋 및 fix(AIX) 설치 여부 확인 **************
lslpp -l bos.adt.base // 파일 셋 인스톨 여부 체크
instfix -i -k "IY4390" // fix 설치 여부 체크


******************** AIX 데몬 재시작 ********************************
refresh -s inetd
startsrc -g inetd

IBM filesets 설치


#oslevel -r // OS 레벨 확인

#instfix -i|grep ML // 파일셋 버전별 설치 현황

#instfix -icqk 5300-02_AIX_ML|grep :-: // 업데이트가 필요한 filesets

download site.
www.ibm.com/servers/eserver/support/pseries/aixfixes.html

***************************** cd mount ************************************

#mount -vcdrfs -oro /dev/cd0 /mnt

#geninstall -d/dev/cd0 bos.alt_disk_install.rte // install fileset in cd.

lspv // see hard-drive information.

#bootlist -m normal hdisk1 hdisk13 // select which disk you want to boot

# bootlist -m normal -o // see which disk is on.
hdisk13


▷▷▷▷▷▷▷▷▷▷▷▷▷▷▷▷▷▷▷▷▷▷▷▷▷▷▷▷▷▷
★★★ 명령어 ★★★
▷▷▷▷▷▷▷▷▷▷▷▷▷▷▷▷▷▷▷▷▷▷▷▷▷▷▷▷▷▷

# lslpp -l | grep nim : 설치된 파일셋보기
# osrevel -r : o/s 버전보기.ml 포함
# lsconf | more : 서버 사양보기 (prtconf 와 동일)
# instfix -i | grep ML : O/S ML 정보 보기(All filesets for 5.3.0.0_AIX_ML were found.)
# export TERM=vt100 : display 의 화면모드 전환, smitty 시 F1,F2.. 키를 먹도록 한다.
# smit service_software : 서버에 설치된 파일셋보기
# smit compare_report : 서버에 부족한 파일셋 설치하기
# instfix -k IY58143 -d /dev/cd0 : cd에 들어있는 IY58143 을 찾아 설치한다.
# instfix -ik IY58143 : i 는 infomation 으로 설치는 하지않고, 정보를 본다
# bootinfo -y : h/w 적으로 64bit 가 지원되는지 확인
# bootinfo -K : o/s kernel 이 몇 bit 인지 확인
# alog -ot boot | more : booting 될때 에러가 있는지 로그점검 (smit alog 도 가능)
# lscft | grep ent : lan 카드 확인명령어
# stopsrc -s qdaemon / startsrc -s qdaemon : 데몬 내리고 올리기
# smit mlang : 언어선택하기
# ls -l /dev : 외부장치 디렉토리의 리스트확인
# lsdev -C -H : 설치된 장치리스트 보기
# lsattr -El fcs0 : 장치에 대한 설정정보 보기
# chvg -t2 rootvg : rootvg 를 t2로 바꾸어준다. max pp 갯수가 1016 -> 2032 로 증가
# lspv -p hdisk0 : pv의 lv 정보를 확인
# lsvg -l rootvg : vg 에 있는 lv의 정보를 확인
# lqueryvg -Atp hdisk0 : vgda(volum group discripter)를 보는데 vgda를 odm이 아닌 실제 disk에서 가져옴
# more /etc/filesystems : df 했을때 보여지는 filesystem 정보와 동일하다
# lscfg -vl fcs0 : fcs0의 상세정보 보기
# lsvg -p rootvg : 물리적으로 볼륨구성보기
# chvg -g volumegroup : 볼륨그룹을 재정리 해준다
# migratepv -l hdisk0 hdisk6 : hdisk0 의 모든데이터를 디스크단위로 hdisk6 로 이동한다.
# migratepv -l lv02 hdisk0 hdisk6 : hdisk0의 lv02를 hdisk6 에 이동(move)한다.
# chfs -a size =+500M /home : 파일시스템의 용량을 500M 추가한다 
# chfs -a size = 1G /home : 파일시스템의 용량을 기존용량+추가용량 1GB로 증가시킨다
# df -k / df -m / df -g : 각 단위별로 파일시스템 보기
# du ./ | sort -r -n : 현재 디렉토리 아래에서 큰파일순으로 정렬한다
# # lslpp -L | pg : 설치된 모든 프로그램 보기.
www.redbooks.ibm.com 전세계 엔지니어들의 장애처리 경험
www.aixservice.net ibm 실장님이 운영하며 신규기술이 많음.
naver cafe 에 빠른 처리가잘되는 aix 카페
www.ibm.com/kr/education

# smitty tcpip 네트워크에 대한 설정을 해줄 수 있다
# startsrc -g tcpip, stopsrc -g tcpip //

#importvg -y testvg hdisk1 하드디스크 마운트하기.


# /usr/spool/cron/crontabs : 사용자별 클론 설정 위치
# /var/adm/cron/cron.deny, allow : 사용자별 클론 접근허용 및 거부 설정.

# lsps -a : 페이징 스페이스 정보 보기.

# fsck -y /dev/hd1 : 파일 시스템 체크

# mkuser user_name : 유저 생성.
# mkgroup group_name
# passwd user_name : 암호 설정.
# rmuser -p user_name : 유저 삭제.
# rmgroup group_name

# who /var/adm/wtmp or /var/adm/utmp : 사용자 접속 확인.
# who /etc/security/failedlogin : 접속 실패 확인.
# more /var/adm/sulog : su를 사용한 사용자 확인.
# last root, last reboot

# varyonvg vg_name : vg 활성화
# varyoffvg vg_name : vg 비활성화
# exportvg vg_name : vg 반출
# savevg vg_name : vg 백업
# extendvg pv_name : pv 확장
# reducevg pv_name : pv 삭제

# lsvg -l rootvg : vg에 대한 lv(Logical Volume) 확인
# mklvcopy lv_name hdisk_name


************ System Backup ***************************
# mkszfile
# cp /var/adm/ras/bosinst.data /root/
# mksysb /dev/rmt0

# tctl -f /dev/rmt0 rewind
# tctl -f /dev/rmt0.1 fsf 3
# restore -xqvf /dev/rmt0.1 /tmp/myfile

# backup -if /dev/rmt0 large_file

# mkdev -l rmt0 : 장치 상태 보기, 삭제
# rmdev -l rmt0


# smitty dev : serial 연결, Tape 특성, Device 설치


# errpt : 에러 보기(/var/adm/ras/errlog)
# errclear : 로기 삭제

# /usr/lib/errdemon : 에러로그 시작
# /usr/lib/errstop : 에러로그 중지

************** VG 미러링 ****************************

# mklv -y hd7 -t dump rootvg PP갯수 hdisk_name : dump device 생성
# snap -ac : dump file 생성


hdisk0 : rootvg hdisk1 : mirror

# extendvg rootvg hdisk1 
# chvg -Qn rootvg

# mklvcopy hd1 2 hdisk1 : 미러링
# mklvcopy hd2 2 hdisk1
# mklvcopy hd3 2 hdisk1
# mklvcopy hd4 2 hdisk1
# mklvcopy hd5 2 hdisk1
# mklvcopy hd6 2 hdisk1
# mklvcopy hd7 2 hdisk1
# mklvcopy hd8 2 hdisk1
# mklvcopy hd9var 2 hdisk1

# syncvg -v rootvg : 새로생성한 미러 디스크를 sync 시킨다.
# bosboot -a -d /dev/hdisk1 : 부트 레코드및 장치 초기화.
# boolist -m normal hdisk0 hdisk1 : 부트 리스트를 초기화.
# shutdown -Fr
# lsvg -l rootvg : 확인


일단은 jdk1.4가 설치가 되었는지 확인하는 방법은
lslpp -L | grep Java14

그리고 jdk가 설치되는 위치는 버전별로 아래와 같습니다.
-------------------------------------------------------
- Java 1.4.x 32-bit /usr/java14

- Java 1.4.x 64-bit /usr/java14_64

- Java 1.3.1 32-bit /usr/java131

- Java 1.3.1 64-bit /usr/java13_64

- Java 1.3.0 /usr/java130

- Java 1.2.2 /usr/java_dev2

- Java 1.1.8 /usr/jdk_base

진단툴 
/usr/lpp/diagnostics/bin/diagrpt


nmon # to see status of cpu and memory.

'AIX 서버' 카테고리의 다른 글

IBM Tivoli Storage Manager DATABASE와 TSM 연계처리  (0) 2015.12.25
TSM 명령어  (0) 2015.12.25
AIX Backup and Restore  (0) 2015.12.24
AIX TCP/IP Setting  (0) 2015.12.24
AIX 공부 사이트  (0) 2015.12.24
Posted by 랩퍼우
AIX 서버2015. 12. 25. 16:35

IBM Tivoli Storage Manager DATABASE와 TSM 연계처리

 

 

ibm tsm for database.ppt

 

 

'AIX 서버'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X 서버 점검 방법(명령어)  (0) 2016.03.07
TSM 명령어  (0) 2015.12.25
AIX Backup and Restore  (0) 2015.12.24
AIX TCP/IP Setting  (0) 2015.12.24
AIX 공부 사이트  (0) 2015.12.24
Posted by 랩퍼우
AIX 서버2015. 12. 25. 16:15

[TSM 명령어]

[Reclamation]
 : update stgpool daily_tape reclaim=30

[Media insert문제 조치]
 : move drm * wherest=vaultre tost=onsitere wait=yes
 
[Media Tape checkout]
 : checkin libv 3576LIB search=bulk checklabel=yes status=private
 
[Media 특정 Tape checkout]
 : checkout libvolume 3576LIB I00251L4 checklabel=no
 
[Media Drm Checkout]
 : move drmedia * wherestate=Mountable tostate=Vault remove=bulk
 
[TSM 계정 생성]
 : register admin user_id password
 : grant authority user_id class=system -> 권한 주기

[TSM Admin Password 변경]
 : update admin sehwank(계정) ********(8자리)
 
[TSM Unlock]
 : unlock admin sehwank
 
[에러난 이벤트 상세조회]
tsm: TSM>q event Policy Domain Name daily_tape no=register f=d begind=-1

[Volume 안에 있는 내용 삭제]
 : delete volume volumeID discarddata=yes

[Volume offsite시 Read/Write 변경]
 : update volume volumeID access=readwrite
 
[서치를 통한 checkout, checkin 테잎 확인]
 : q act search=checkout begind=-3(확인하고 싶은 날짜)
 
[TSM lockout threshold 변경]
 : set invaildp number

[TS3310 Drive Path]
 : UPDate PATH TSM_KMTC DRIVE01 SRCType=SERVer DESTType=DRive LIBRary=3576LIB   
   ONline=no -> Drive01 PATH 사용하지 않음
   UPDate PATH TSM_KMTC DRIVE01 SRCType=SERVer DESTType=DRive LIBRary=3576LIB   
   ONline=yes -> Drive01 PATH 사용  
  
[TSM DB백업 명령어]
 : backup db devclass=ltoclass type=full wait=yes

[AIX TSM서버 실행 파일 위치]
- /bin/ksh /usr/tivoli/tsm/server/bin/rc.adsmservRGB(0x00,0x00,0x00)


[DB 쿼리문] - Scratch, Private 된 Tape Count
- select count(*) as NUM_SCRATCH_TAPES from LIBVOLUMES where STATUS='Scratch'
- select count(*) as NUM_SCRATCH_TAPES from LIBVOLUMES where STATUS='Private'

 

 

'AIX 서버'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X 서버 점검 방법(명령어)  (0) 2016.03.07
IBM Tivoli Storage Manager DATABASE와 TSM 연계처리  (0) 2015.12.25
AIX Backup and Restore  (0) 2015.12.24
AIX TCP/IP Setting  (0) 2015.12.24
AIX 공부 사이트  (0) 2015.12.24
Posted by 랩퍼우
AIX 서버2015. 12. 24. 19:24

AIX Backup and Restore

★ 안전한 백업과 복원을 위해 아래의 연습을 충분히 해볼 것을 권장합니다. 본 문서의 내용은 AIX Ver. 4를 기준하여 작성 되었으며, Ibm System Administrator Ⅰ (Course Code AU14)의 Student Notebook을 번역한 문서입니다.

★ AIX를 통해 백업스케쥴링을 하실 수 있습니다. 하지만, 권장되는 방법은 아니라고 합니다. 백업스케쥴 전용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시는 것을 권장합니다. 그러한 이유로 본 문서는 스케쥴링이 아닌 풀백업과 복원에대한 정보를 다루겠습니다.

LAB 백업과 복원(하드디스크로 백업하기).

  1. login : root계정으로 직접 로그인 하는 것 보다 개인 계정으로 로그인 하시고 SU 명령을 사용하시어 root의 권한을 받으시는 것을 권장합니다.(관리자가 여러 명일 경우 모든 관리자가 root계정을 사용한다면, 누가 어떤 작업을 하였는지 알 수가 없을 것입니다. SU (Swith User)에 log가 남기 때문에 되도록 개인 계정으로 login하시고 SU를 사용하시어 root의 권한을 가지고 작업 하세요)

    $ SU

  2. 준비단계 : 물리적인 하드디스크와 이 하드디스크에 속한 Logical Volume(이하 "LV"라 칭함)과 File System(이하 "FS"라 칭함)이 필요합니다.

    준비되어있는 하드디스크에 8MB (1 partition)의 /HOME/BKUPXX/라는 이름의 FS을 만듭니다.

    # SMIT
      System Storage Management (Physical & Logical Storage)  
      File Systems  
      Add / Change / Show / Deleted File Systems  
      Journaled File System
      Add a Journaled File System
      Add a Standard Journaled File System



    Volume Group Name의 팝업 상자에서 rootvg선택합니다.
    - *Size of file systemy ................................................ [16384]
      MOUNT POINT ........................................................ [/home/bkupxx]
      Mount AUTOMATICALLY at system restart ................. [yes]
      OK or Enter
       
    - F3 to return to the menu
    - OR -

    # crfs -v jfs -a bf=true -g rootvg -a size=16384 -m /home/bkupxx -A yes -p rw -t no -a nbpi=4096 -a ag=64

  3. 지금 생성한 FS의 Mount 여부를 확인 합니다.

    File system Menu 화면으로 돌아 갑니다.
      Mount a File System  
         
    - FILE SYSTEM NAME ............................................... [/dev/lv0x]
      (x는 LV의 숫자입니다.)  
      DIRECTORY over which to mount .............................. [/home/bkupxx]
      OK or Enter
       
    - F3 to return to the menu
    File system Menu 화면으로 돌아 갑니다.
      List all Mounted File systems  
         
    - F3 to return to the menu
    - OR -

    # mount /home/bkupxx (mount를 시킵니다...)

    # mount (mount여부를 확인합니다.)

  4. 백업대상 즉, 원본을 위한 LV과 FS을 만듭니다. FS들 중 아무거나 백업 받아도 상관이 없습니다만, 만일의 상황을 위해 백업의 원본 FS도 새로이 만드는 것을 권장합니다. 만드시는 방법은 LAB 2 ~ 3 을 반복하시면 됩니다. 새로이 생성한 원본의 FS은 /home/team/dir이며, LV은 /dev/yylv라고 가정하겠습니다.

  5. 백업을 하실려면, 내용이 들어가 있어야 하겠죠? 그래서 /usr/samples의 내용을 복사해 오겠습니다.

    # ls /home/team/dir (FS안에 내용이 없음을 확인하시고...)

    # cp -r /usr/samples /home/team/dir (/usr/samples안의 내용을 /home/team/dir로 복사합니다.)

    # ls /home/team/dir (FS안에 내용이 복사 되었음을 확인하셨으면, OK...)

  6. 백업과 복원을 수행하기 위해 백업과 복원 유틸리티(Backup and Restore Utilities)가 설치돼 있어야 합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한 작업입니다.

    # lslpp -l bos.sysmgt.sysbr

  7. 백업을 수행하기 전에 백업 대상인 FS을 unmount시키는 과정입니다. 시스템이 읽고 있는 파일은 백업이 안됩니다. 그러한 이유로, 백업할 때는 백업대상파일 열지 못하도록 FS을 unmount해야 합니다.

    # cd /home/team

    # umount /home/team/dir

    # mount
    (unmount된 것을 확인하시면 됩니다...)

  8. unmount가 되었지만, /home/team/dir 아래에 다른 파일나 폴더가 존재 할 수 있습니다.(물론 FS을 새로 만들었다면, 아무것도 없어야 겠지만, 실습이므로 그 안의 내용이 있다고 가정하고 진행하겠습니다.)

    # ls -l /home/team/dir (total0이 되어야 정상입니다)

    # cd /home/team

    # rm -r /home/team/dir/*
    (total이 0이 아니라면, 실행하세요)

  9. 이제 백업을 시작할 차례입니다. 생성할 미디어의 이름을 /home/bkupxx안에 weekly로 정하겠습니다. 그리고 백업 정보가 /etc/dumpdates에 저장이 됩니다.

    # smit
      System Storage Management
      File Systems
      List contents
       
    - *FILESYSTEM to Backup ...................................... [/home/team/dir]
      *Backup DEVICE ................................................. [/home/bkupxx/weekly]
      Backup LEVEL .................................................... [0]
      Recored backup in /etc/dumpdates? ..................... [yes]
      OK or Enter
       
    - F3 to return to the menu
    - OR -

    # backup -0 -u -f/home/bkupxx/weekly /home/team/dir
    "-0"은 숫자 "영"이며, 풀백업 level을 의미합니다. -1, -2 이런식으로 레벨의 차이를 줄 수 있습니다.
  10. 제대로 백업이 되었는지 백업을 확인하는 과정을 진행합니다.

    # smit
      System Storage Management
      File Systems
      Backup a File System
       
    - *Backup DEVICE .................................................. [/home/bkupxx/weekly]
      OK or Enter
       
    - F3 to return to the menu
    - OR -

    # restore -T -f/home/bkupxx/weelky

  11. /etc/dumpdates도 확인해야 겠죠? (←평상시는 볼 필요 없는데 문제 생기면 긴요하게 쓰입니다.)

    # pg /etc/dumpdates

  12. 데이터를 수정하여서 다른 level로 백업을 한번 더 수행하려고 합니다. 일단은 데이터를 수정해 보도록 합니다.

    File system Menu 화면으로 돌아 갑니다.
      Mount a File System  
         
    - FILE SYSTEM NAME ............................................... [/dev/yylv]
      DIRECTORY over which to mount .............................. [/home/team/dir]
      OK or Enter
       
    - F3 to return to the menu
    F9 (Command line으로 넘어갑니다.)

    # cd /home/team/dir

    # vi samples/tcpip/resolv.conf
    (여기다가 영어 이름을 대문자로 입력하세요)

    ● smit로 돌아갑시다.

    - OR -

    # mount /home/team/dir

    # cd /home/team/dir

    # vi samples/tcpip/resolv.conf

  13. unmount를 하고 level 1로 백업을 해보겠습니다. 이번에는 /home/bkupxx/daily라고 설정을 해두고 Incremental 백업을 하겠습니다. Incremental이 뭐냐구요? 모르시면, 백업의 5가지 종류를 참조하세요. 내용이 반드시 수정되어있어야 되겠죠!

    File system Menu 화면으로 돌아 갑니다.
      Unmount a File System  
         
      NAME of file system to unmount ............................... [/home/team/dir]
    File system Menu 화면으로 돌아 갑니다.
      List all Mounted File Systems  
    File system Menu 화면으로 돌아 갑니다.
      Backup a File System  
         
    - FILESYSTEM to Backup ....................................... [/home/team/dir]
      Backup DEVICE .................................................. [/home/bkupxx/daily]
      Backup LEVEL .................................................... [1]
      RECORED backup in /etc/dumpdates .................... [yes]
      OK or Enter
       
    - F3 to return to the menu
    - OR -

    # cd /home/team

    # umount /home/team/dir

    # mount

    # backup -1 -u -f/home/bkupxx/daily /home/team/dir

 

'AIX 서버' 카테고리의 다른 글

IBM Tivoli Storage Manager DATABASE와 TSM 연계처리  (0) 2015.12.25
TSM 명령어  (0) 2015.12.25
AIX TCP/IP Setting  (0) 2015.12.24
AIX 공부 사이트  (0) 2015.12.24
AIX 업데이트  (0) 2015.12.24
Posted by 랩퍼우
AIX 서버2015. 12. 24. 19:24

AIX TCP/IP Setting

★ Network Card를 추가하거나... TCP/IP 설정을 바꾸고자할 때, 일련의 상황을 살펴 보겠습니다.

LAB1. Network Card 확인하기

  1. TCP/IP Service정지 시키기.

    # stopsrc -g tcpip

  2. Network Card 정보 살펴보기.

    # lsdev -Cc adapter (메모리에 올라와 있는 디바이스 정보를 통해 Network Card가 올라와 있나 확인.)

  3. Network Card 와 관련된 디바이스 삭제하기.(Network Card가 ent0로 올라와 있을 경우 아래의 세 가지를 전부 삭제)

    # rmdev -dl en0

    # rmdev -dl et0

    # rmdev -dl ent0

  4. Network Card 와 관련된 디바이스 다시 올리기.

    # cfgmgr -v

  5. Network Card 디바이스 올라왔는지 확인하기.

    # netstat -v > aaa

    # vi aaa

    (en0또는 en1의 정보를 볼 수 있다. 거의 마지막 부분에 Speed running...목록을 확인하여서, UNKOWN 이며 올라오지 않은 것이고, 10MBPS나 100MBPS이면 성공한 것이다.)

지금까지 Network Card 와 관련된 디바이스를 살펴본 것이지만, 다른 디바이스의 경우에도 위와 같이 수행하면, 그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있습니다.

LAB2. TCP/IP Setting 하기

  1. TCP/IP Setting하기.

    # smit tcpip

    (위와 같이 명령을 내리면 목록이 몇가지 나온다. 그중 제일 위에 있는 최소 설정을 선택하고 나면, 디바이스를 선택하라고 나옵니다. 위에서 en0에 선을 연결했다면, en0를 선택하면 됩니다. 그 다음 화면에서 ip, subnet mask, DNS, gateway의 주소를 입력하면 되는데.. 주의할 점은 DNS의 주소를 ip주소로 써주었다면, 꼬옥 FQDN(full name)도 입력해 주어야 합니다.

  2. 잘못된 Host Name과 DNS Name 삭제하기.(잘못된 정보를 입력하여 위의 1번을 다시 설정하더라도, 잘못된 설정은 계속 남아있습니다. 이로인해 서버가 먹통이 될 수 있습니다.)

    # smit tcpip

    (위의 명령을 수행하면, 목록이 나오는데 그중 두번째 목록인 자세한 설정을 선택하면
    host와 DNS네임을 볼 수 있는 목록이 있습니다. 그 것을 통해서 잘못된 정보가 있는지 확인하고 삭제하면 됩니다.)

    -- 아래와 같이 수정할 수도 있습니다. --

    # vi /etc/resolv.conf

    # vi /etc/hosts

 

'AIX 서버' 카테고리의 다른 글

TSM 명령어  (0) 2015.12.25
AIX Backup and Restore  (0) 2015.12.24
AIX 공부 사이트  (0) 2015.12.24
AIX 업데이트  (0) 2015.12.24
AIX HDD 관련 커맨드  (0) 2015.12.24
Posted by 랩퍼우
AIX 서버2015. 12. 24. 19:22

AIX 공부 유용한 사이트
http://eibm.co.kr/ 초보용: 명령어 한글로 해석

http://www.aixservice.co.kr/ 장애처리용: 장애 히스토리 정리
http://www.redbooks.ibm.com/ IBM 바이블

 

'AIX 서버'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X Backup and Restore  (0) 2015.12.24
AIX TCP/IP Setting  (0) 2015.12.24
AIX 업데이트  (0) 2015.12.24
AIX HDD 관련 커맨드  (0) 2015.12.24
root 암호를 잊어 버렸을 때 조치 방법  (0) 2015.12.24
Posted by 랩퍼우
AIX 서버2015. 12. 24. 19:22

AIX 업데이트 파일 받는 사이트 입니다.

워낙 IMB이 매번 바꾸니깐 이 링크가 언제까지 유효할지는 미지수

 

http://www-933.ibm.com/support/fixcentral/

'AIX 서버'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X TCP/IP Setting  (0) 2015.12.24
AIX 공부 사이트  (0) 2015.12.24
AIX HDD 관련 커맨드  (0) 2015.12.24
root 암호를 잊어 버렸을 때 조치 방법  (0) 2015.12.24
Full System Partition <-> LPAR 방법  (0) 2015.12.24
Posted by 랩퍼우
AIX 서버2015. 12. 24. 19:21

HDD 크기 확인

SIZE_IN_MB 확인

[Network Team : root@test_p520 /]#lsattr -El hdisk0
PCM PCM/friend/scsiscsd Path Control Module False
algorithm fail_over Algorithm True
dist_err_pcnt 0 Distributed Error Percentage True
dist_tw_width 50 Distributed Error Sample Time True
hcheck_interval 0 Health Check Interval True
hcheck_mode nonactive Health Check Mode True
max_transfer 0x40000 Maximum TRANSFER Size True
pvid 000892c69df246990000000000000000 Physical volume identifier False
queue_depth 3 Queue DEPTH False
reserve_policy single_path Reserve Policy True
size_in_mb 300000 Size in Megabytes False

 

VG 사용량 확인

[Network Team : root@test_p520 /]#lsvg -l rootvg
rootvg:
LV NAME TYPE LPs PPs PVs LV STATE MOUNT POINT
hd5 boot 1 1 1 closed/syncd N/A
hd6 paging 16 16 1 open/syncd N/A
hd8 jfs2log 1 1 1 open/syncd N/A
hd4 jfs2 51 51 1 open/syncd /
hd2 jfs2 20 20 1 open/syncd /usr
hd9var jfs2 1 1 1 open/syncd /var
hd3 jfs2 1 1 1 open/syncd /tmp
hd1 jfs2 1 1 1 open/syncd /home
hd10opt jfs2 1 1 1 open/syncd /opt
fwdump jfs2 1 1 1 open/syncd /var/adm/ras/platform
lg_dumplv sysdump 4 4 1 open/syncd N/A

 

 

fs 용량 증설

[Network Team : root@test_p520 /]#df -m
Filesystem MB blocks Free %Used Iused %Iused Mounted on
/dev/hd4 512.00 137.48 74% 3067 9% /
/dev/hd2 10240.00 4882.86 53% 50203 5% /usr
/dev/hd9var 512.00 498.76 3% 451 1% /var
/dev/hd3 512.00 230.04 56% 2462 5% /tmp
/dev/fwdump 512.00 511.60 1% 4 1% /var/adm/ras/platform
/dev/hd1 512.00 511.56 1% 8 1% /home
/proc - - - - - /proc
/dev/hd10opt 512.00 423.14 18% 2610 3% /opt
/dev/dv_alticast 102400.00 29965.40 71% 82697 2% /alticast
[Network Team : root@test_p520 /]#chfs -a size=+3G / (root용량 3G 확장)
Filesystem size changed to 8388608
[Network Team : root@test_p520 /]#df -m
Filesystem MB blocks Free %Used Iused %Iused Mounted on
/dev/hd4 4096.00 3720.94 10% 3067 1% /
/dev/hd2 10240.00 4882.86 53% 50203 5% /usr
/dev/hd9var 512.00 498.76 3% 452 1% /var
/dev/hd3 512.00 230.04 56% 2463 5% /tmp
/dev/fwdump 512.00 511.60 1% 4 1% /var/adm/ras/platform
/dev/hd1 512.00 511.56 1% 8 1% /home
/proc - - - - - /proc
/dev/hd10opt 512.00 423.14 18% 2610 3% /opt
/dev/dv_alticast 102400.00 29964.25 71% 82697 2% /alticast

 

 

'AIX 서버'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X 공부 사이트  (0) 2015.12.24
AIX 업데이트  (0) 2015.12.24
root 암호를 잊어 버렸을 때 조치 방법  (0) 2015.12.24
Full System Partition <-> LPAR 방법  (0) 2015.12.24
AIX LPAR의 의미  (0) 2015.12.24
Posted by 랩퍼우
AIX 서버2015. 12. 24. 19:20

root 암호를 잊어 버렸을 때 조치 방법

 


우선 cdrom에 OS 1번을 넣으시구 부팅을 시킵니다.
조금 지나 하얀 화면이 나오구 여러가지 아이콘들이 나오면
스피커에서 소리가 나기 전에 F5를 누릅니다.
(아스키 터미널인 경우 5번)
그렇게 되면 cdrom으로 부팅이 되는데
3번 maintenance mode 를 선택하면
시스템에 설정된 hdisk들이 나오게 됩니다.
그럼 사용자는 rootvg가 있는 hdisk를 선택하시면 되구요.
참고로 rootvg에는 hd1, hd2, hd3, hd4, hd5, hd9var 등이 있는 디스크 입니다.
암튼 그걸 선택하시면
두가지 메뉴가 나오게 될겁니다.

한가지는 access a root volume group ~~~~ mount
다른거는 ~~~~~ before mount...
였던것 같은데 --;;
위에거를 선택하신다음에( rootvg의 파일 시스템들 mount하는 메뉴요..)

export TERM=vt100
vi 로 /etc/passwd 파일에 들어가서 두번째 필드를 지워주시면 됩니다.
그리구 나서 재부팅을 하시면 됩니다.

 

'AIX 서버'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X 공부 사이트  (0) 2015.12.24
AIX 업데이트  (0) 2015.12.24
AIX HDD 관련 커맨드  (0) 2015.12.24
Full System Partition <-> LPAR 방법  (0) 2015.12.24
AIX LPAR의 의미  (0) 2015.12.24
Posted by 랩퍼우
AIX 서버2015. 12. 24. 19:19

Full System Partition <-> LPAR 방법

Full System Partition(FSP)와 LPAR는 각 모드마다 사용하는 console device가 다르기 때문에 FSP <->
LPAR를 하기 위해서는 console deivce 재인식 절차를 수행해야 합니다.

1. Full System Mode -> LPAR

1. AIX V5.1인 경우 partition_ready 스크립트 수행 필요
: 수행시의 관련 로그는 /var/adm/ras/partition_ready.log 에 기록됨.
본 스크립트는 IY22854를 설치하며, AIX 5.1 ML 3 이상인 경우 이미 포함되어 있으므로 상관 없다.

2. 필요 파일셋 설치 여부 확인
: lpar device에 관련된 fileset이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 lslpp -l devices.chrp_lpar.base

3. 새로운 Partition에 포함될 자원들을 기록한 후 삭제한다.
: lsdev, rmdev 명령을 이용하여 LPAR mode로 변경 후 현 파티션에 포함하지 않을 디바이스를 정리한다.

4. 현재 boot disk와 연결 scsi adapter 정보를 확인한다.
# lscfg -vl hdisk0
  hdisk0          U1.9-P1/Z1-A8  16 Bit LVD SCSI Disk Drive (36400 MB)

        Manufacturer................IBM
        Machine Type and Model......ST336605LC
        FRU Number..................09P4445
        ROS Level and ID............43353037
        Serial Number...............00007E10
        EC Level....................H11936
        Part Number.................09P4444
        Device Specific.(Z0)........000003129F00013E
        Device Specific.(Z1)........0111C507
        Device Specific.(Z2)........1000
        Device Specific.(Z3)........02011
        Device Specific.(Z4)........0001
        Device Specific.(Z5)........22
        Device Specific.(Z6)........162870 C

# lscfg -vl scsi0
  scsi0            U1.9-P1/Z1  Wide/Ultra-3 SCSI I/O Controller

        Device Specific.(YL)........U1.9-P1/Z1
: boot disk가 연결되어 있는 I/O drawer 확인

5. 시스템을 shutdown하고 partition standby mode로 booting 한다.

6. LPAR profile을 생성한다. 관련 디바이스와 group_128을 포함해야 한다.

7. LPAR를 SMS mode로 activate 한다.

8. boot device가 “4”번에서 확인한 것과 동일한지 확인하고, 다를 경우 그와 동일하게 맞추어 준다.

9. 해당 partition booting을 진행한다.

10. 정상 부팅되었음을 확인한다. console 접속은 안되지만, telnet 등을 통한 접속은 가능하다.

11. console device를 LPAR Virtual Serial Adapter로 바꾸어 준다.
  11.1. lscons --> /dev/tty0
  11.2. lsdev -Cl tty0 -F parent --> sa0
  11.3. lsdev -Cl sa0
        sa0    Available 01-S1      Standard I/O Serial Port             
        ==> LPAR mode인 경우 LPAR Virtual Serial Adapter로 변경해야 한다.
  11.4. lsdev -Cc tty --> tty0 and tty1
  11.5. lsdev -Cl tty1 -F parent --> sa3                               
  11.6. lsdev -Cl sa3                                                       
        sa3    Available      LPAR Virtual Serial Adapter                 
  11.7. chcons /dev/tty1                                                   
  11.8. reboot
  11.9. vterm(console)로 접속 가능하다.

2. LPAR -> Full System Partition Mode

1. 모든 LPAR및 시스템을 shutdown하고 full system mode로 booting 한다.

2. SMS 에서 멈추고 boot disk 설정이 바른지를 확인한다.

3. 해당 시스템 부팅을 계속한다.

4. 정상 부팅되었음을 확인한다. console 접속은 안되지만, telnet 등을 통한 접속은 가능하다.

5. console device를 Standard I/O Serial Port 로 바꾸어 준다.
5.1 lsdev -Cc tty --> tty0 and tty1
5.2 lsdev -Cl tty0 -F parent --> sa0
5.3 lsdev -Cl sa0
sa0    Available 01-S1      Standard I/O Serial Port
5.4 chcons /dev/tty0
5.5  reboot
5.6 console로 접속 가능함.

'AIX 서버'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X 공부 사이트  (0) 2015.12.24
AIX 업데이트  (0) 2015.12.24
AIX HDD 관련 커맨드  (0) 2015.12.24
root 암호를 잊어 버렸을 때 조치 방법  (0) 2015.12.24
AIX LPAR의 의미  (0) 2015.12.24
Posted by 랩퍼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