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정보2016. 3. 25. 16:58

설치 환경 : Centos 6.5 x64 

설치 버전 : java 1.7.0.51

설치전 확인 사항 

java가 설치 되었있는지 확인함

#java 

bash: java: command not found 


설치 사항

1.경로 선택및 파일 다운로드 

http://www.oracle.com/technetwork/java/javase/downloads/jdk7-downloads-1880260.html

jdk-7u51-linux-x64.gz 파일을 다운로드 합니다. 

#cd /usr/local/src


2. 압축 해제 및 이동

#cd /usr/local/src

#tar zxvf jdk-7u51-linux-x64.gz

#mkdir /usr/java

#mv /usr/local/src/jdk1.7.0_51 /usr/java/jdk1.7

3.환경 설정

#vi /etc/profile

export JAVA_HOME=/usr/java/jdk1.7

export PATH=$JAVA_HOME/bin:$PATH

export CLASSPATH=$CLASSPATH:$JAVA_HOME/jre/lib/ext:$JAVA_HOME/lib/tools.jar

#source /etc/profile

4.확인 및 테스트

#java -version

#java

주의사항 

기존 자바가 있는경우 

#which java

#cd /usr/bin

#ls -al java   

변경방법

alias java = /usr/java/jdk1.7/bin/java

OR  http://tead.tistory.com/7

#alternatives--install /usr/bin/java  java /usr/java/jdk1.7/bin java 0

#alternatives --config java


Posted by 랩퍼우
IT 정보2016. 3. 11. 10:33
요약
운영체제와 응용프로그램 사이의 통신에 사용되는 언어나 메시지 형식을 말한다.

운영체제나 C, C++, Pascal 등과 같은 언어로 응용 프로그램을 만들 때, 윈도우를 만들고 파일을 여는 것과 같은 처리를 할 수 있도록 1,000여 개 이상의 함수로 구성되어 있다. API는 프로그래머를 위한 운영체제나 프로그램의 인터페이스로서 사용자와 직접 대하게 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나 명령형 인터페이스와 뚜렷한 차이가 있다.

API는 응용 프로그램이 운영체제나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과 같은 시스템 프로그램과 통신할 때 사용되는 언어나 메시지 형식을 가지며, API는 프로그램 내에서 실행을 위해 특정 서브루틴에 연결을 제공하는 함수를 호출하는 것으로 구현된다. 그러므로 하나의 API는 함수의 호출에 의해 요청되는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이미 존재하거나 또는 연결되어야 하는 몇 개의 프로그램 모듈이나 루틴을 가진다. 

좋은 API는 모든 building block을 제공함으로써 프로그램 개발을 쉽게 해준다. 프로그래머는 그 block을 함께 합치기만 하면 된다. API가 프로그래머를 위해서 만들어지기는 했지만, 사용자 입장에서도 같은 API를 사용한 프로그램은 비슷한 인터페이스를 가지기 때문에 새로운 프로그램의 사용법을 배우기가 쉬워진다.

[네이버 지식백과]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두산백과)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 운영체제가 응용프로그램에서 사용할수 있도록

   프로그래밍언어가 제공하는 기능을제어할수 있게 하는 함수의 집합이라 정의 할 수있다.


API는 운영체제 그 자체라고 할만큼, 아주 연관이 깊은데


운영체제에 대해서 잠시 말씀드리면

운영체제는 하드웨어와 응용 프로그램 사이에 위치하며, 

응용 프로그램을 대신하여 하드웨어와 메모리를 관리해 주는 시스템 소프트웨어 입니다.

특정 운영체제에서 실행되는 응용 프로그램은 운영체제에 종속적일 수 밖에 없으며 운영체제가 규정한 대로 하드웨어를 액세스 해야 합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응용 프로그램 개발자들이 이러한 운영체제의 복잡한 내부 동작까지 속속들이 이해하고 있을 수는 없기 때문에 

운영체제가 하드웨어에 접근할수 있는 편리한 함수들을 제공하는데 이것이 API입니다.


Windows API

Windows라는 운영체제가 하드웨어에 접근할 수 있도록 응용 프로그램을 위해 제공하는 함수의 집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API라는건 포괄적인 개념이죠



Posted by 랩퍼우
IT 정보2016. 3. 4. 16:06


개요

JAR(Java Archive, 자바 아카이브)는 소프트웨어에서 수많은 자바 클래스 파일과 연관 메타데이터, 리소스(텍스트, 그림 등)을 하나의 파일로 모아서 자바 플랫폼응용 소프트웨어라이브러리를 배포하기 위한 패키지 파일 포맷이다.

JAR 파일은 실제로 ZIP 파일 포맷으로 이루어진 압축 파일로서, 파일 확장자는 .jar이다. 컴퓨터 사용자들은 JDK에 포함된 jar 명령어를 이용하여 JAR 파일을 만들거나 압축을 풀 수 있다. 또, zip 도구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압축 시에는 매니페스트 파일이 처음이어야 하는 경우가 있어서 zip 파일 헤더의 엔트리 순서가 중요하다. JAR 안에서 파일 이름들은 유니코드 텍스트로 되어 있다.



JAR 파일은 자바 런타임이 효율적으로 클래스 집합 및 관련 리소스를 배치(디플로이)할 수 있게 한다. JAR 파일 내의 요소들은 압축할 수 있고 한 차례의 요청으로 애플리케이션 전체를 다운로드할 수 있다. 하나의 자바 애플리케이션을 이루는, 압축되지 않은 수많은 파일들을 하나씩 내려받는 것 보다 JAR 파일 하나를 다운로드하는 것이 더 편리하다. java.util.zip 패키지는 JAR 파일을 읽고 쓰는 클래스들을 포함하고 있다.

JAR 파일은 META-INF/MANIFEST.MF경로에 위치한 매니페스트 파일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매니페스트 파일 안의 엔트리들은 어떻게 JAR 파일을 이용할지를 결정한다. 이를테면 클래스패스 엔트리를 사용하면 해당 JAR 파일과 함께 로드할 다른 JAR 파일들을 지정할 수 있다. 이 엔트리는 다른 JAR 파일에 대한 일련의 절대 경로나 상대 경로로 구성된다. JAR 이용을 단순하게 할 의도였으나 실제로는 안정적이지 못한 모습을 보여주었는데, 이는 엔트리 포인트 JAR가 만들어질 때 지정한 정확한 위치의 모든 JAR에 의존하기 때문이다. 라이브러리의 버전이나 위치를 변경하려면 새로운 매니페스트가 필요하다.

JAR 파일의 압축을 풀려면 ZIP 파일을 해제하는 표준 소프트웨어를 사용하거나 자바 가상 머신에 포함된 jar 명령을 이용하면 된다.: jar -xf foo.jar

개발자들은 JAR 파일들에 디지털 서명을 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명 정보는 내재된 매니페스트 파일의 일부가 된다. JAR 그 자체는 서명되지 않으나 압축 파일 안의 모든 파일은 저마다 체크섬으로 나열된다. 즉, 체크섬을 통해 서명이 된다는 것을 뜻한다. 여러 개의 엔트리들은 각기 서명함으로써 JAR 파일 자체를 변경하여 JAR 파일을 서명할 수 있지만 서명된 파일들은 그 자체로 유효한 상태로 남아있다. 서명된 JAR 파일들을 자바 런타임이 로드할 때 서명이 유효한지 확인하고 서명이 일치하지 않는 클래스들은 로드를 거부할 수 있다.



IT용어사전

클래스 파일의 효율적인 배포를 위해 여러 클래스 파일들을 하나로 묶어 단일의 파일로 만드는 포맷. 로컬(local)상에서 편리한 관리는 물론 자바(Java) 프로그램 실행 중에 원격지에서 하이퍼텍스트 전송 규약(HTTP) 등을 통해 내려받기(download)되어 바로 사용이 가능하다.

[네이버 지식백과] JAR [java archiver] (IT용어사전,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Posted by 랩퍼우
IT 정보2016. 3. 3. 16:48

요즘 대부분 사람들이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계시는데요.
스마트폰으로 찍은 사진이나 동영상을 컴퓨터로 옮기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스마트폰 사진 컴퓨터로 옮기는 방법 !! 아주 다양합니다.

 

스마트폰 앱(N드라이브, ftp, 기타 웹하드)을 통해서도 가능하고,
별도의 프로그램 설치 없이도 가능하고,
스마트폰 제공업체 프로그램(kies 등)을 통해서도 가능하죠.

 

그 중에서 별도의 프로그램 설치 없이도 가능한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물론, 컴퓨터에 해당 스마트폰을 인식할 수 있는 USB 드라이브는 설치를 하셔야 합니다.

 

삼성 usb 통합 드라이버 다운 및 오류없이 설치하기

 

대부분의 스마트폰이 안드로이드를 많이 사용하고 있으므로
그걸 기준으로 설명드리죠...

 

그냥 컴퓨터와 스마트폰을 연결합니다.

연결을 하면 다음과 같은 창이 뜹니다.

 

윈도우 탐색기가 열리면 스마트폰의 폴더를 클릭하여 폴더를 열어줍니다.

 

 

폴더중에서 DCIM 폴더와 Pictures 추가적으로 Download 폴더에 있는 내용을 중심으로 보시면 됩니다.

 

DCIM 폴더에 있는 것들이 스마트폰으로 찍은 사진과 동영상이며,
Pictures 폴더에 있는 것들이 스마트폰 스크린 캡쳐 한 내용이며,
Download 폴더에 있는 것들이 다운로드 받은 내용들입니다.

 

위에 나열된 내용이 핵심입니다.

 

해당 폴더에 있는 것을 끌어다가 컴퓨터로 옮기기만 하면 됩니다.
간단하죠~~~

Posted by 랩퍼우
IT 정보2016. 3. 3. 08:57



시리얼 포트는 가정에서는 잘 사용되지 않지만 산업 현장이나 뭐 그런 곳에서는 여전히 널리 사용되고 있죠. 컴퓨터와 시리얼 포트로 기기를 연결했는데 정상적으로 작동을 하지 않는다. 그렇다면 이건 윈도우의 문제일까요? 메인보드 시리얼 포트의 문제일까요? 아니면 연결한 케이블의 문제일까요? 그것도 아니라면 기기에 무슨 문제가 생긴걸까요? 이렇게 아리송 할 때가 있습니다.

이럴 때 문제의 범인을 좁히기 위해 컴퓨터에 달린 시리얼 포트와 케이블에 어떠한 문제가 없는지 간단하게 윈도우의 하이퍼 터미널 프로그램을 통해 테스트해 볼 수 있습니다.




시리얼 포트 설정 확인하기

일단 가장 먼저 테스트를 진행하기 전, 컴퓨터에서 시리얼 포트가 정상적으로 활성화되어 있고 윈도우에서도 정상적으로 인식되어있는지 봐야겠죠.


1. 장치 관리자 확인하기

윈도우의 장치 관리자로 들어가 포트 -> 통신 포트에서 원하는 포트의 속성을 살펴보아 장치 상태가 문제없이 작동 중인지 확인합니다. 만약 아무런 문제가 없다면 곧바로 테스트를 시작합니다. 만약 해당 장치가 아예 없거나 문제가 있다면 먼저 CMOS 셋업 설정을 살펴봅니다.

 



2. CMOS 셋업 확인

CMOS 셋업에서 Serial Port 가 Enabled 로 활성화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Disabled 로 비활성화되어 있다면 Enabled 로 활성화시켜 줍니다. Enabled 되어 있는데 그런다면 IRQ 설정을 한 번 바꿔보시길 바랍니다.



그래도 인식이 안 된다면 메인보드 칩셋 드라이버를 재설치해 보시길 바랍니다. 어떻게든 장치 관리자에서 시리얼 포트가 정상적으로 인식이 되어야 합니다. 만약 별다른 문제를 발견하지 못했거나 문제를 해결하여 시리얼 포트가 정상적으로 인식이 되고 있는 걸 확인했다면 이제 윈도우에서 하이퍼 터미널을 통해 테스트를 진행합니다.




1. 시리얼 케이블 분리

간단하게 두 가지 테스트를 할텐데요. 먼저 메인보드에서 바로 나오는 시리얼 포트 자체를 테스트하고, 다음으로 케이블만 연결한 채 케이블을 테스트할 겁니다. 그러니까 일단 컴퓨터와 기기를 연결한 시리얼 케이블을 분리하세요.






2. 하이퍼 터미널 준비하기

컴퓨터에 설치된 운영체제가 윈도우 XP 라면, 시작 -> 모든 프로그램 -> 보조 프로그램 -> 통신 -> 하이퍼 터미널로 들어가시면 됩니다.

컴퓨터에 설치된 운영체제가 윈도우 비스타나 윈도우 7 이라면, 기본적으로 하이퍼 터미널 프로그램이 제공되지 않습니다. 필요하신 분들은 아래의 파일을 다운로드 받으셔서 압축을 풀고 그대로 Hypertrm.exe 파일을 실행하시면 됩니다. 해당 파일들은 윈도우 XP 에서 추출한 것으로, 영문 버전과 한글 버전 둘 모두를 제공해드릴테니 원하시는 걸로 다운로드 받으시면 됩니다.



만약 하이퍼 터미널을 처음 실행하는 것이라면 아래의 과정이 추가됩니다. 만약 이전에 하이퍼 터미널을 실행하였고, 설정도 해 놓았다면 이 과정은 나오지 않습니다.

아래와 같이 메시지가 뜰 수 있습니다. 그냥 아니오 하시면 됩니다.



마찬가지로 처음 실행하면 이와 같이 위치 정보를 입력하게 되는데 어차피 모뎀 쓸거 아니니까 그냥 대충 지역 번호나 아무렇게 적으시고 확인을 클릭하시면 됩니다.



방금 앞에서 설정한 내용이 내 위치로 저장됩니다. 그냥 확인을 클릭하시면 됩니다.




이제 본격적으로 하이퍼 터미널의 연결을 설정합니다.

연결 이름은 대충 아무렇게나 적습니다.



연결에 사용할 모뎀에 테스트를 진행할 시리얼 포트를 지정해주시면 됩니다. [ex. COM1] 컴퓨터에 시리얼 포트가 하나라면 COM1 이겠죠. 선택하고 확인을 클릭합니다.



다음으로 앞서 선택한 시리얼 포트에 대한 설정을 해줍니다. 비트/초 등은 알맞게 잘 설정해주시고, 흐름 제어를 없음으로 설정해줍니다.




그러면 아래와 같이 하이퍼 터미널을 통해 선택한 시리얼 포트로 통신을 시작합니다. 이 상태에서 키보드로 아무거나 타이핑 해보세요. 그럼 터미널 화면에 아무 것도 출력되지 않습니다. 현재는 아무런 연결된 게 없으니까 이게 정상입니다.






3. 시리얼 포트와 케이블 테스트하기

DB9 시리얼 케이블 숫놈(Mail) 핀 연결도


하이퍼 터미널까지 띄우셨으면 이제 메인보드 백 패널 시리얼 포트의 2 - 3 번 핀을 쇼트시키세요. 점퍼를 끼워주거나 쇠집게 등으로 물려주면 되겠죠? 정 없으면 그냥 드라이버라도 가져다 대세요.

아무튼 이는 3 번 핀(TxD)으로 나가는 데이터를 2 번 핀(RxD)으로 다시 되돌아오게 만드는 겁니다. 즉, 자신이 보낸 데이터가 되돌아와서 자신이 받는 것이죠. 무슨 말인지 대충 이해되시죠?

이렇게 2 번 핀과 3 번 핀을 정상적으로 쇼트 시키셨으면, 윈도우의 하이퍼 터미널로 돌아와 이전과 마찬가지로 키보드로 아무거나 타이핑해봅니다. 그러면 아래와 같이 핀들을 쇼트시키기 전과는 달리 타이핑한 내용이 그대로 다시 되돌아 옵니다.



간단하죠? 이렇게 키보드로 입력하여 보낸 신호가 다시 되돌아와 출력이 되면 일단 시리얼 포트 자체에는 문제가 없다고 보셔도 됩니다. 이를 동영상으로 보시면 아래와 같습니다.





메인보드의 시리얼 포트를 확인하셨으면, 이제 케이블만 꼽고 마찬가지로 케이블에서 2 - 3 번 핀을 쇼트시킨 후 동일하게 하이퍼 터미널에서 타이핑 테스트를 진행해 봅니다. 마찬가지로 정상적으로 되돌아오면 케이블까지는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판단할 수 있죠.

F(암) 의 배열은 M(수) 에서 좌우를 반전 시키면 됩니다. 그리고 F-F 케이블(Null Modem, Cross)이더라도 TxD 와 RxD 가 꼬여있는 것이니, 마찬가지로 2 번과 3 번을 클립 등으로 쇼트시키시면 됩니다.




메인보드 백 패널의 시리얼 포트에서는 신호가 정상적으로 되돌아오는데 케이블에서는 신호가 되돌아오지 않는다면? 그건 케이블에 무슨 문제가 있다고 볼 수 있겠죠. 케이블을 바꾼 후 다시 테스트를 진행해 보아야겠죠.


그런데 만약 메인보드의 시리얼 포트에서 조차 신호가 되돌아오지 않는다면? 시리얼 포트의 설정이 무언가 잘못되었을 수도 있습니다. 혹시 모르니 장치 관리자에서 해당 포트의 설정을 잘 살펴보세요. 이도저도 아니라면 포트 자체에 무슨 문제가 있을 확률이 높습니다.





만약 테스트를 통해 포트와 케이블에서는 아무런 문제도 발견하지 못했다면? 일단 이건 포트나 케이블의 문제라기 보다는 연관된 프로그램에서의 설정이나 기기 쪽에서 무언가 잘못되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볼 수 있겠죠. 프로그램 설정이나 기기 쪽은 뭐 제가 모르는 것이니 알아서 잘 살펴보시고 케이블도 헐렁하지 않게 꽉~ 끼워졌는지도 잘 살펴보시라고 밖에는 말씀을 못 드리겠네요.


아무튼 이런 식으로 간단하게 하이퍼 터미널을 통해 시리얼 포트와 케이블을 테스트해 볼 수 있습니다. 그런데 TxD 와 RxD 가 아닌 다른 핀 쪽에 이상이 있을 수도 있고 하니 너무 맹신하진 마시고요. 말 그대로 정말로 간단하게 테스트를 해보기 위한 것입니다. 이상입니다.

참고로 시리얼 포트가 메인보드 백 패널에 달려있는 게 아니라 메인보드에 내장된 시리얼 포트 헤더를 통해 브라켓으로 연결된 것이라면 브라켓에 무슨 문제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



메인보드의 시리얼 포트 헤더의 핀 배열은 아래와 같습니다.(간혹 다른 경우도 있던데 그건 자신의 메인보드 메뉴얼을 살펴보세요.)



아무튼 10 번은 비어있으니 이를 통해 방향을 확인하시고 2 와 3 을 쇼트시키시면 마찬가지로 테스트가 가능합니다. 제 메인보드는 이렇게 헤더만 제공되어서 여기에 점퍼를 꼽고 동영상이랑 찍은 겁니다. ^^; [여담이지만 시리얼 헤더와 USB 헤더는 생긴 게 똑같으니 꼭 메인보드에 프린트된 이름을 잘 보세요. 공연히 USB 헤더에 잘못 작업하면 어떤 재앙이 닥칠지 모릅니다. ㅡㅡ;]


[출처] http://cappleblog.co.kr/298 캐플의 꿈구는 블로그

Posted by 랩퍼우
IT 정보2016. 3. 3. 08:54

Service Temporarily Unavailable가 있을 때엔.....

 

출처: 지식인 

503 에러의 메세지인 "Service Temporarily Unavailable" 은

서버쪽의 문제로 서비스가 현재 불가능한 상태라는 뜻입니다.
예를들면 서버에 접속자가 많아 해당 서버로 접속을 하지 못했거나,
접속은 하였는데 서버쪽에서 응답을 받지 못한 경우.
혹은 서버내 애플리케이션의 문제로 웹상에서 요청한 서비스가
정상적으로 처리되지 못한 경우에 나타납니다.

컴퓨터 문제가 아닌 웹사이트의 문제입니다.

Service Temporarily Unavailable

서비스를 일시적으로 이용할 수 없다는 말 입니다.

즉, 홈페이지가 잠시동안 점검을 시행 중이라던가 아니면 새롭게 홈페이지를 꾸밀려고 들어오지 못하게 하는 것입니다.

이 문제는 잠시만 지나면 홈페이지를 사용하 실 수 있습니다.


Posted by 랩퍼우
IT 정보2016. 2. 24. 14:29

Heap영역과 Stack영역은 자바가상기계라고 부르는 JVM에서 사용되는 메모리 영역중 일부를 말하는데요. JVM은 저번 환경변수글에서 java.exe를 돌릴때 사용되는거라고 알고 있었습니다.



정적 메모리 스택(Stack) 영역



1. 스택 영역은 변수값을 저장하게 되는데 기본타입인 정수형 변수와 실수형 변수와 논리형 변수를 실제값으로 저장한다.

2. 크기가 정해져 있는 타입이다.

3. 메모리 할당시 컴파일할때 이미 계산이 이루어진다.

4. 메소드 작업이 종료되면 할당되었던 메모리 공간은 반환되어 비워진다.


 동적 메모리 힙(Heap) 영역



1. 힙 영역은 객체와 배열이 생성되는 공간이고 참조타입(배열, 열거, 클래스, 인터페이스)들을 힙영역에 주소형식으로 저장한다. 

2. 크기가 정해져 있지 않는 타입이다.

3. 메모리 할당시 프로그램을 실행할때 메모리를 빌려 동적으로 할당한다.

4. 참조하는 변수가 없다면 자동으로 힙 영역에서 제거 된다.



힙(Heap)과 스택(Stack)의 관계



그림을 먼저 보면 힙영역은 양쪽이 열려있고 스택영역은 한쪽이 막히고 위에서 부터 쌓이는 구조를 가집니다. 


Stack영역은 메소드를 호출할때 1번부터 2번, 3번순으로 프레임이 실행(Push)되지만 마지막에 제거(Pop)할때는 3번부터 2번, 1번순으로 제거됩니다.


Heap영역은 객체와 배열이 주소형식으로 저장되고요. 


단, Heap영역에서 참조타입 변수인 객체나 배열을 Null값으로 받으면 NullPointException이라는 예외가 떠서 사용할수가 없으니 당황하지 말고 변수값을 넣어주면 됩니다.

Posted by 랩퍼우
IT 정보2016. 2. 22. 16:34

404 에러(404 Not Found error) 메시지는 개인웹사이트를 방문하거나 불러들일 때 자주 일어난다. 이러한 404에러 메시지를 보면 사용자들은 무심코 해당 웹사이트에 문제가 생겼거나, 사이트 관리자가 서비를 다운시켰놔다고 생각한다. 즉, 404 에러 메시지의 근원을 웹사이트 관리자에게 두는 것이다. 





보통 404 에러 메시지는 획일적이지 않고 아래와 같이 HTTP 404 error가 다양하게 보여진다.

 

  • "404 Not Found"
     
  • "Error 404"
     
  • "The requested URL [URL] was not found on this server."
     
  • "HTTP 404"
     
  • "Error 404 Not Found"
     
  • "404 File or Directory Not Found"
     
  • "HTTP 404 Not Found"



국내에서는 보통 nternet explorer에서 웹페이지, Internet Explorer에서 웹 페이지를 표시할 수 없습니다, 인터넷에서웹페이지를표시할수없습니다, 이 페이지를 표시할 수 없습니다., 던파 웹페이지를 표시할수, 인터넷익스플로어에서웹페이지를표시할수없습니다 등을 표시가 된다. 


404 에러 메시지는 어떠한 운영체제이든, 어떠한 인터넷 브라우저에서든 발견이 된다. 그러나 대체적으로 마이크로 소프트의 윈도우 운영체제에 설치 된 브라우저에서 자주 볼 수 있다. 일반적은로 인터넷 익스프로러에서는 The Webpage cannot be found(웹페이지를 찾을 수 없습니다)라는 메시지가 뜨는데 일반적으로 HTTP 404 인터넷 서버 에러를 포함하고 있지만, 단순히 인터넷의 문제나 해당 사이트의 서버의 문제로만 치부할 수 없고 약 400가지의 다른 원인에 의해서 발생될 수 있는 웹브라우저 에러 중 하나이다. 




HTTP 404 에러의 발생원인


404에러 메시지는 보통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앱들의 문서 속에 포함되 링크로 연결을 시키려고 할 때 발생된다(HTTP/1.0 404). 이 메시지는 MS 오피스 프로그램과 과련이 있다. 이러한 경우 윈도우 업데이트가 404 에로를 만들어 내고 그것은 코드 0X80244019 또는 WU_E_PT_HTTP_STATUS_NOT_FOUND. 의 메시지를 나타낸다.  


404 에러는 HTTP 상태 코드이다. 그것은 사용자가 웹사이트를 해당 서버로 부터 불러낼 수 없다는 것을 뜻한다. 기술적으노 에러 404는 클라이언트쪽의 에러이거나 사용자가 기록한 웹사이트 주소가 잘못되었거나 웹사이트가 사이트에 속해 있는 페이지를 삭제했을 때에도 일어난다. 


또는 웹사이트가 자체적으로 페이지를 옮겼거나 새로운 도메인으로 이전한 경우에도 발생될 수 있다. 보통 이러한 일이 발생될 경우에는 자동적으로 변경된 주소로 연결되는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는 이상 사용자는 404 에러를 볼 수 밖에 없다. 404에러와 더불어 마이크로소프느 IIS는 에러메시지를 상세히 제공하는 경우도 있는데 소수점 끝으로 숫자가 더 붙는 경우이다. 이것은 아래를 참고하기를 바란다.


404 에러메시지 보기


자 그럼 어떻게 404 에러를 해결할 수 있는지 알아보자.




404 에러 코드 해결방법


1. 첫번째로 가장 쉽게 할 수 있는 것은 웹페이지를 새로고침하는 것이다. 보통 윈도우 익스플로러는 F5가 새로고침 버튼이기 때문에 2-3회정도 새로고침을 해서 해당 서버에 몇번 응답신호를 보내는 것이다. 보통 해당 웹사이트에 이상이 없는 한 이러한 경우 사용자의 컴퓨터 통신의 일시적인 문제나 서버의 문제이라면 해결될 것이다. 


2. 두번째로 할 수 있는것은 본인이 기록한 웹사이트 주소(URL)의 스펠링이 정확한지 체크해보는 것이다. 혹시 다른사이트로부터 링크된 경로를 찾아서 들어온 경우라고 한다면, 링크주소가 잘못된 것일 수 있으니 비슷한 게시물을 찾아 다른 링크로 접속해 본다.


3. 해당 페이지의 주소가 몇개의 슬러시(/)로 확장되어 있다면 하나씩 지워본다. 예를들 만약 주소가 www.web.com/a/b/c라면 최초 c를 삭제해서 www.web.com/a/b로 들어간다. 그렇게 해서도 문제가 생기면 www.web.com/a로 들어가고 그것도 안되면 www.web.com 도메인만 기록해서 들어가 원하는 정보를 찾는다. 한가지 팁을 드리자면, 웹사이트 도메인만으로 들어가졌다면 보통 사이트에는 검색툴이 있다 그것을 이용해 정보를 찾는 것도 방법이다. 


4. 개방성이 높은 검색엔진을 이용해서 원하는 정보를 검색해 본다. 국내 포털들은 상대적으로 정보 수집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타 포털의 자료를 수집하고 출력하는데 구조적으로 문제가 있다. 따라서 구글이나 빙(Bing) 같은 개방성이 높은 검색엔진을 통해서 해당 주소를 검색하거나 키워드를 넣어 검색을 해본다.


5. 사용자가 해볼 수 있는 가장 확실한 방법은 바로 인터넷 브라우저의 캐시를 삭제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다른 컴퓨터에서는 보이는 페이지가 유난히 자신의 컴퓨터에서 404 에러로 표시가 된다면 이것을 일반적을 캐시문제이다. 이것은 모바일기기 역시 그러하다. 스마트폰으로 보이는 페이지가 타블렛에서 안보이는 것도 같은 이유이다. 브라우저 설정에 들어가서 "기록 삭제", "쿠키 삭제" 등을 해보는 것을 권한다.


6. 만약 특정 사이트가 아니라 어떠한 페이지를 접속하더라도 404에러가 발생된다면 DNS 서버 주소를 변경해보아야 한다. 특히 다른 네트워크에서 접속이 잘 되는 것이라면 자신의 DNS 서버가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일단 자신의 스마트폰으로 접속해보고 잘 접속이 된다면, 자신의 컴퓨터의 DNS 서버를 수정하도록 한다. 


또한 가정용 인터넷 라인이 아니라 공공장소나 회사에서 이러한 일이 발생된 경우에는 회사측에서 특정한 사이트 도메인을 차단한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관리자에게 문의를 해보아야 한다. 


7. 마지막으로 모든 시도를 해도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면, 해당 웹사이트가 삭제되었거나 또는 다른 주소로 이전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이것을 확인할 수 있는 간단한 방법은 후이즈를 통해서 해당 도메인을 검색해 보는 것이다. 후이즈에 도메인을 검색하면 도메인 정보가 나온다. 

- See more at: http://mutizen.tistory.com/1211#sthash.iPYQF5DH.dpuf

Posted by 랩퍼우
IT 정보2016. 2. 19. 09:10

참고사이트 

http://derekmolloy.ie/resize-a-virtualbox-disk/

http://superuser.com/questions/716649/how-to-change-fixed-size-vdi-with-modifyhd-command-in-windows

http://askubuntu.com/questions/88647/how-do-i-increase-the-hard-disk-size-of-the-virtual-machine


참고 사이트에는 ui에서 하는 방법도 있지만 필자는 터미널에서 하는 방식을 택했다. ui로 설명된 창이 어딘지 몰라서 그런건 아니다..
우선 터미널을 열고 vboxmanage명령어가 잘 실행 되는지 해보니 등록이 안되어 있는지 직접 주소까지 쳐야 실행이 됐다. 
 
/usr/bin/vboxmanage modifyhd 바꾸려는vdi파일.vdi --resize 200000


그래서 위처럼 실행 해서 제대로 실행이 된다면 그냥 늘리면 끝이다.

하지만 필자는 아래와 같은 오류가 뜨면서 되질 않더라.. 

VBoxManage: error: Resize hard disk operation for this format is not implemented yet!


그래서 찾아보니,


/usr/bin/vboxmanage showhdinfo 바꾸려는vdi파일.vdi


이라고 쳤을때 나오는 정보중에 아래와 같이 용량이 고정되어 있다면 resize가 돼지 않는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Format variant: fixed default


그리고 이럴경우에는 해당 vdi파일의 클론을 만든 뒤에 해당 클론vdi파일로 대체 하면 된다고 한다.(위 참고사이트에 나오는 내용)

그래서 아래와 같이 클론을 만들었다


/usr/bin/vboxmanage clonehd 바꾸려는vdi파일.vdi 클론vdi파일.vdi


자 이제 만들어진 클론 파일의 정보를 보면,


/usr/bin/vboxmanage showhdinfo 클론vdi파일.vdi


Format variant: dynamic default


위처럼 포멧이 유동으로 변해 있을 것이다.
그럼 이제 해당 클론파일의 용량을 늘려보자. 아래와 같이 하면 된다. 

/usr/bin/vboxmanage modifyhd 클론vdi파일.vdi --resize 200000

용량의 단위는 Mb이다. 위와 같이 하면 해당 파일이 차지하는 범위가 200Gb정도가 되는 것이다.

이후에는 VM의 settings의 storage 부분에 가서 vdi 파일을 새로 만든 클론파일로 교체해준 뒤에 부팅을 한다.

그리고, 필자의 vdi파일은 윈도우 였기 때문에 여기서 한가지 절차를 더 밟아서, 윈도우의 "컴퓨터관리"에서 늘어난 디스크 용량을 인식시켜주는 작업까지 진행 했다.


여기에 써있는 글들은 필자가 용량을 늘리면서 일어난 일을 적은것이고, 이 외에 다른 변수들에 의한 처리 방법이나 절차는 위의 링크들중에 포함되어 있으니 해당 링크들을 먼저 참조하길 바란다.


Posted by 랩퍼우
IT 정보2016. 2. 11. 15:00

https://bitnami.com/stack/redmine/installer

 

웬만하면 root계정에서 작업하는걸 추천 !

 

linux 64bit 주소 복사 !

https://bitnami.com/redirect/to/43933/bitnami-redmine-2.5.2-3-linux-x64-installer.run

 

   sudo wget https://bitnami.com/redirect/to/43933/bitnami-redmine-2.5.2-3-linux-x64-installer.run   

 

   sudo chmod +x FileName.run   

 

  sudo ./FileName.run   

 

./ctlscript start

 

WebBrowser 확인 !

ex ) http://192.168.0.39:8080/remine

Posted by 랩퍼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