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정보2016. 2. 5. 00:39

VirtualBox 디스크 용량 늘리기(LINUX)


버츄얼 박스로 작업하다보면 예상치못한 업로드 파일로 디스크 용량을 증가할 필요가 어쩌다 발생 한다. 
여기저기 이런저런 방법이있는데 아래 방법이 제일 간단하고 편하여 정리 한다.

먼저 현재 용량이 얼마인지 확인해보자.

아래와 같이 10.23GB로 잡혀있다. 이것을 12GB로 늘려보겠다.

먼저 가상 디스크 용량을 증가해보자. 위에 표시된 용량을 증가하는 방법이다.
윈도우의 커멘드 창을 실행하여 버츄얼 박스의 vboxmanage를 통하여 증가하는 방법이다.

vboxmanage modifyhd xxxxx.vdi --resize 12288
 
위의 과정으로 아래와 같이 버츄얼 디스크가 증가된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실제로 리눅스 시스템으로 로그인하여 df 명령으로 확인하면 기존 용량과 동일한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제 리눅스 시스템의 실제 사용량을 증가할 차례다.
아래는 위의 과정을 거친 후 터미널 df 상태이다. 변경이 없다.

이제 리눅스 root권한으로 로그인하여 아래의 과정을 거친다.

# fdisk -l (파티션 layout확인, 디스크 디바이스 리스트를 확인한다. /dev/sda2)
# fdisk /dev/sda (sda 디스크의 용량을 수정할것이다.)
d (파티션 지우기를 선택)
2 (/dev/sda2을 실제로 삭제)
n (세로운 파티션을 만든다.)
p (Primary 파티션을 선택)
2 (2번 파티션을 만들것이다.)
엔터
다시 엔터
w (새롭게 디스크를 만든다.)
# reboot
# pvresize /dev/sda2 (새로운 사이즈 지정)
# pvscan 
# lvextend -l +100%FREE /dev/mapper/VolGroup-lv_root (예: -L +10G, 10GB를 추가)
# resize2fs /dev/mapper/VolGroup-lv_root

df 로 최종 변경된 디스크 용량을 확인하자.
약간 올라간 크기를 확인할 수 있다.
이렇게 버츄얼 박스는 2가지의 디스크 증설에 대한 작업이 필요하다. 물론 디스크 용량을 줄이는것도 가능하다.


'IT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Oracle VM VirtualBox] 용량늘리기  (0) 2016.02.19
리눅스 REDMINE 한방설치 ( bitnami  (0) 2016.02.11
Redmine 레드마인 설치  (0) 2016.01.26
re.kr 도메인의 이용목적  (0) 2016.01.14
공인 IP Address 확인 방법  (0) 2016.01.13
Posted by 랩퍼우
IT 정보2016. 1. 26. 17:31

[레드마인 개요]

 

■ 이슈 관리 시스템은 버그, 요구사항, 작업내용 등이 있을 때 해당 시스템에 게시물 형태로 올리고 개발자, 테스터들이 작업 진행상황을 기록하는 시스템


일반적으로 인터넷상의 게시판과 비슷한 형태이며, 해당 이슈(버그,요구하상, 작업 내용 등)에 대한 제목에, 이슈형태, 담당자, 프로그램 버전, 우선순위 등의 속성을 지정하고 내용을 올릴 수 있다.


 

이슈관리시스템은 대부분 버그관리시스템(Bug Tracking System, BTS)에서 출발하였으나, 단순히 버그 뿐 아니라, 다양한 이슈를 관리할 수 있도록 의미가 확장되고 되었다.

 

 

[Redmine 설치]

 

■  Bitnami 설치

1. Bitnami 홈페이지 접속 : https://bitnami.com  Download  bitnami-redmine

 

 

 

 

2. No thanks, just take me to the download

 

 

 

3. Ok  Next  …  경로 설정

 

 

 

 

4. 계정 설정  언어 설정  Install

 

 

5. Manage Servers 탭을 통해 설치한 프로그램들 제어 (start, stop, restart) Go to Application 선택 시 redmine 접속 가능

 

 

 

 

6.  local 서버 접속  Access Bitnami Redmine Stack  Redmine 화면이 뜨면 완료

 

 

 

 

 

 

 

 

 

 

 

 

 

 

Posted by 랩퍼우
IT 정보2016. 1. 14. 10:41
예전에 or.kr 도메인의 상업적 이용에 관해 글을 올렸는데(or.kr 도메인의 상업적 이용) 이번에는 re.kr의 이용목적에 대해 추가로 파악된 바를 아래와 같이 정리함.

re.kr 도메인에 대해 한국인터넷진흥원에 문의 메일을 보냈고 아래와 같은 답변을 받았음.

===== KISA 의 답변 내용==========

re.kr 도메인은 '연구'를 목적으로 하는
법인과 개인 홈페이지에 이용 가능한 도메인입니다.

도메인 등록 당시에는 증명서 등을 요구하지 않더라도
추후 re.kr 도메인을 연구 목적 외로 사용하는 것이 확인될 경우
도메인 사용 정지 및 말소 조치가 취해질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 도메인이름 말소에 관한 세칙 제6조(등록조건 및 등록기준을 준수하지 않는 경우)

등록자가 개인이더라도 연구 목적인 홈페이지 도메인으로 이용하시면
re.kr를 사용하셔도 무방합니다
=========

따라서 연구를 목적으로 함을 뒷받침할 수 있는 정도의 구성과 컨텐츠로 사이트를 만든다면 re.kr 도메인의 사용에는 제한이 없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을 것임.


Posted by 랩퍼우
IT 정보2016. 1. 13. 09:36

외부서버설정이나 방화벽 설정시 내부망 IP Address가 아닌 Public IP Address정보를 알고 싶을때가 있다.

이때 간단히 자신의 PC의 Public IP Address를 알 수 있는 사이트를 소개한다.


  • What is My IP
  • IPCONFIG
    • http://ipconfig.kr/
    • 위의 사이트에 접속하면 다음과 같이 현재 공인 IP 주소를 확인 할 수 있다.

※네이버 검색창에서 공인ip 확인 누르면 아래 그림처럼 공인ip가 나온다.





Posted by 랩퍼우
IT 정보2016. 1. 5. 13:20

AI 파일 (일러스트레이터 파일)은 어도비 시스템에서 개발한 벡터 기반의 이미지 파일입니다. 그래픽, 웹, 인쇄 등 많은 분야에서 활용하는 포멧인데요. AI 파일은 벡터방식이어서 포토샵 PSD 처럼 미리보기가 안되며 알씨, 꿀뷰 등의 일반적인 뷰어로는 파일을 열어볼수가 없습니다. 그렇다고 일러스트레이터로 일일이 열어보기엔 프로그램 자체가 너무 무겁고 느려서 시간이 오래 걸립니다.

 

그래서 오늘은 일러스트레이터 파일을 열어볼수 있는 AI 뷰어 및 에디터 13종을 소개해 드릴까 합니다. 단순히 AI 파일을 볼수 있는 뷰어부터 다른 파일을 AI파일로 변환하고 편집할 수 있는 도구까지 다양한 무료 소프트웨어입니다.

 

이젠 일러스트레이터가 없다고 당황하지 마시고 AI 뷰어로 파일의 내용을 확인해보세요.~

 

 

 

 

 

Inkscape

 

잉크스케이프는 매우 인기있는 벡터 전문 그래픽 편집기입니다. 일러스트레이터의 무료 버전이라고 보면되겠는데요. AI파일을 포함해서 다양한 이미지 파일 형식을 열수 있습니다. 일러스트레이터가 없다면 AI 편집과 뷰어가 가능한 잉크스케이프를 추천드립니다.

 

 

 

 

 

 

Paint.NET

 

Paint.Net는 AI 뷰어와 이미지 편집이 가능한 프리웨어입니다. 유용하고 강력한 기능을 지원하며 직관적이고 혁신적인 유저 인터페이스로 제작된 도구입니다. 

 

 

 

 

 

 

Scribus

 

Scribus는 래스터 이미지 보기 및 편집 소프트웨어입니다. AI 파일을 포함하여 많은 래스터 파일 형식을 지원하며 AI파일을 PDF 형식으로 변환도 가능합니다.

 

 

 

 

 

 

GIMP

 

김프는 AI파일을 포함하여 다양한 파일 형식을 편집할수 있는 이미지 편집 소프트웨어입니다. 유용한 이미지 뷰어 및 편집도구를 제공하며 AI파일을 다른 형식으로 변환할 수 있습니다.

 

 

 

 

 

 

Adobe Reader

 

어찌보면 가장 간단하게 AI파일을 열수 있는 방법은 어도비리더인것 같습니다. PDF뷰어로 사용되기 때문에 대부분 컴퓨터에 설치되어 있는데요. 이 도구를 이용하면 AI파일도 볼수 있습니다. 다만 편집은 안되면 다른 파일로 변환은 가능합니다. 

 

 

 

 

 

 

 

XnView

 

XnView는 이미지 뷰어 및 편집 도구입니다. 전체화면모드에서 여러탭에서 2개 이상의 AI파일을 열수 있습니다. 플립, 회전, 자르기, 변환등 간단한 편집이 가능합니다.
 

 

 

 

 

 

 

Free AI VIEWER

 

AI 뷰어는 간단한 AI파일 뷰어 프로그램입니다. 설치 및 인터페이스 모든게 간편하지만 다만 아쉬운점은 한글 파일은 열리지 않으며 높은 버전의 일러스트레이터 파일은 지원하지 않습니다.

 

 

 

 

 

 

 

PDF-XChange Viewer

 

PDF 체인지 뷰어는 PDF 전문 뷰어 도구지만 AI파일도 열수 있으며 AI파일을 PDF 및 다른 형식으로 변환이 가능합니다.

 

 

 

 

 

 

FoxPDF Reader

 

FoxPDF는 AI파일을 포함하여 다양한 파일 포멧을 읽을수 있는 도구입니다.

 

 

 

 

 

 

 

SumatraPDF

 

SumatraPDF는 윈도우용 PDF 리더 및 이미지 뷰어 프리웨어입니다. 전체화면 모드로 AI 이미지를 볼 수 있습니다.

 

 

 

 

 

 

PCX Viewer

 

PCX는 레스터 이미지 뷰어 도구로 AI파일을 포함하여 다양한 파일형식을 볼수 있습니다. 회전, 줌, 변환 같은 간단한 편집 기능도 제공합니다.

 

 

 

 

 

 

 

GSview

 

GSview는 윈도우용 포스트 스크립트 파일 뷰어 프리웨어로 전체화면모드로 AI파일을 볼 수 있습니다.

 

 

 

 

 

 

Online Google Reader

 

온라인 구글 리더로도 AI 파일을 볼수 있는데요. 제공하는 이미지 품질이 매우 우수합니다. 구글 드라이브에 파일을 업로드하고 원하는 언제든지 원하는 컴퓨터에서 파일을 볼 수 있습니다.

 

 

 

Posted by 랩퍼우
IT 정보2016. 1. 5. 11:46

윈도우6  오피스2007 및 모든 버젼 파워포인트 창2개 분리하기



기왕 엑셀 창 2개 띠위기 포스팅을 한김에 오피스도 알려드리죠 . 

오피스도 쉽답니다. 


윈도우xp, 윈도우7 , 윈도우 10 등 모두 공통이며 오피스 2010 . 오피스 2007 오피스 2003  2013 2016 등도 가리지 않습니다. 


PPCOREddd.zip

 

 

1. 일단 첨부파일을 다운받으세요 



2. 압축을 해제해 보면 위 처럼 창이 2개 있을 텐데요. 

    멀티창은 여러분이 쓰여야 할 수정된 dll파일이 들어 있고요 

    원본파일은 제가 서비스로 넣어드리는 원래대로 되돌리는 백업파일입니다 

    (보기 싫거나 잘못되었을때를 대비함이죠 ^^ 위의 원본파일은 2007오피스에서 추출하였습니다.)



3. 멀티창 폴더를 열어 보시면 ppcore.dll 파일이 들어 있을 건데요 






4. 이걸 아래 위치에  덮어 씌우기를 합니다 

      os가 32비트이면 C:\Program Files\Microsoft Office\Office12

      os가 64비트이면 C:\Program Files (x86)\Microsoft Office\Office12

    

       
 


5. 끝 ~ 쉽죠? (캬 완벽 하구만.. 재부팅을 하시면 굿)

  물론 이것도엑셀의 경우처럼 빈 오피스 2개 띄워놓고 파일을 끌어다 놓기가 존재하지만 아무래도 편한 이런 수정된 파일을 

 설치하는걸 더 선호하는 분들이 많아서 고급 사용자 방법을 알려드립니다 ㅋ


주) 덮어 씌우기 전에 백업은 필수

 

 

'IT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인 IP Address 확인 방법  (0) 2016.01.13
무료 AI 뷰어 및 편집 도구 13종 소개  (0) 2016.01.05
S-ATA, SAS 인터페이스 소개 / 최대 전송 속도  (0) 2015.12.29
잘 알려진 포트번호  (0) 2015.12.25
업체별 dns  (0) 2015.12.24
Posted by 랩퍼우
IT 정보2015. 12. 29. 13:21
SAS란?

 

SCSI 인터페이스를 잇는 SAS 인터페이스는 SA-SCSI(Serial Attached SCSI)의 줄임말로 시리얼 전송 방식과 SCSI의 장점을 이어받아

서버 환경에 적합한 저장장치 인터페이스 입니다.

 


 

 

기존 SCSI(Small Computer System Interface:소형 컴퓨터 시스템용 인터페이스)는 병렬 처리 방식이었습니다.
과거에 병렬 처리 방식을 주로 사용했던 이유는 신호 세기와 신호 주기를 올려서 감지 하는데는 기술적인 한계가 있었기 때문에
병렬 방식으로 전송속도를 올리는 것이 상대적으로 쉬웠기 때문입니다.
 
기술의 발전으로 과거에는 느린 방식으로 인식 되었던 직렬 방식으로도 전송 속도를 올릴 수 있게 되자
이제는 직렬 방식이 빠른 기술이 되었고, 병렬 방식은 느린 기술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SCSI (스카시) 장치는 하드디스크 외에도 흔히 볼 수 있는 CD 레코더나 산업 장치를 연결할때도 사용 했었습니다.
이 당시에 SCSI 인터페이스에 연결해서 사용했던 가장 큰 이유는 안정성 때문이었는데
그 이유는 과거에는 컴퓨터가 전반적으로 느렸기 때문에 데이터 전송 도중에 끊기게 되면 전송 오류로 인해 실패했기 때문입니다.
 
CD 레코더의 경우 현재는 데이터 전송이 끊기게 되면 잠시 멈추었다가 기록하거나 많은양의 가상 버퍼를 가지고 처리하기 때문에 끊기지 않습니다. 하지만 과거에는 이러한 기술이 없었습니다.
 
뿐만 아니라 그 당시 CPU가 느렸기 때문에 다른 작업을 하는데도 버거워 해서 처리 지연 증상이 있었는데
SCSI는 별도의 컨트롤러 칩셋을 사용했기 때문에 CPU가 처리해야 할 부분을 컨트롤러가 담당해서 안정성을 확보 했었던 것이었습니다.
 
 
 

 

 처리 방식

최대 전송 속도 

S-ATA 호환 여부 

 E-DIE (P-ATA)

 병렬

 133MB/s

 X

 S-ATA

 직렬

 6Gbps/s

 O

 SCSI

 병렬

 640MB/s

 X

 SAS (SA-SCSI)

 직렬

 6Gbps/s

  △ 

 

 

(1) SAS HDD는 S-ATA 커넥터에 연결하여 사용이 불가능 합니다.
(2) S-ATA HDD는 SAS에 연결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현재 인터넷에서는 최대 지원 전송속도가 이상하게 표시된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우리가 알기 쉬운 표기법인 MB(메가 바이트) 용량 단위로 표기하여 600MB/s로 표기하는 경우가 있는데
그 이유는 과거에 MB단위 표기를 사용했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직렬 방식에서의 표기 방식은 6Gbps/s 입니다.

BPS는 통신 전송속도를 나타낼때 쓰이던 표기 방식이며 Bit Per Second의 약자입니다. (8Bit=1KB)

 

1000BPS=1Kbps, 1000Kbps=1Mbps, 1000Mbps=1Gbps

 

6Gbps => 6000Mbps => 6000 / 8 = 750MB

 

그러므로 S-ATA3와 최근 SAS의 최대 전송 속도는 750MB/s가 됩니다.

실제로 이론상 최대 전송 속도 만큼을 지원 하지는 못합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600MB으로 표기하는 것은 위 계산법을 무시한 표기 방법입니다.

 

S-ATA 1 = 187.5MB/s

S-ATA 2 = 375MB/s

S-ATA 3 = 750MB/s

SAS = ? = S-ATA3

 

예전에 SATA1을 (1.5Gbps) 150MB/s로 표기 한적이 있었으며 그 다음부터는 그 2배씩 표기하여

SATA2는 300MB/s, SATA3는 600MB/s으로 표기 했었던 것입니다.

실제로 최대 전송 속도는 이론 속도에 미치지 못했기 때문에 이렇게 표기해도 그다지 문제는 없었으나

SATA3 HDD의 최대 전송속도가 190MB대에 육박하는 지금 150MB/s 밖에 안되는 SATA1에 연결하면 안될 것 같은 느낌이 들도록 만들었습니다. 이것은 일종의 광고 효과이며, 많은 유저들이 인터넷을 맹신하여 생긴 착각인 것입니다.

 

S-ATA 3 HDD를 S-ATA 1 커넥터에 연결해도 별다른 문제 없이 사용 가능한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S-ATA 3를 지원하는 HDD라도 최대 속도가 190MB/s대 정도이고, 평균은 80~160MB/s 정도가 됩니다.

 

 

-> 자 이제 병렬 처리 방식의 SCSI 전송 속도를 살펴 볼까요

 

 

 

이렇게 다양한 인터페이스가 있었고 연결하는 곳도 아래와 같이 복잡 했었습니다.

 

 

 

상당히 복잡하죠?

하지만 SAS의 등장으로 이런 복잡한 커넥터가 모두 통일되어 버전에 상관없이 한 가지 모양으로 사용할 수 있고

버전에 상관없이 상호 호환이 가능해졌습니다.

 

 

그럼 아래 표기 방식에 어떠한 문제가 있는지 살펴 볼까요?

 

 

 

본 게시글을 제대로 읽으신 분이라면 금방 이상한 점을 눈치 채셨을 것입니다.

SAS 300과 SATA3의 표기가 분명히 다른데도 둘다 똑같이 600MB/s으로 표기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IDE/ SATA/ SAS/ SCSI 커넥터 순 (68핀/ 50핀/ 25핀)

 
 
 
 



 

 

 

 

 

 

 

일반 2.5인치 9.5mm SATA HDD (좌)/ 13mm SAS HDD (우)

 

SAS와 SATA 인터페이스 적용 2.5인치 하드디스크 (HDD)의 기본적인 외형은 서로 엇비슷하지만

사용되는 커넥터는 SAS가 SFF-8482 커넥터로 데이터 및 전원공급 부분이 하나로 이어져 있어서

데이터와 전원이 분리되어 있는 일반 2.5인치 SATA 하드디스크와 차이가 있습니다.

 

RPM도 일반 2.5인치 하드디스크는 5400RPM 또는 7200RPM인데 반해 SAS는 10000RPM 이상의 고속의 동작이 가능합니다.

SAS HDD에 비해 용량과 가격은 일반 SATA HDD가 유리하며, SAS는 SCSI HDD처럼 고성능을 제공하는 대신 높은 가격과

일반 SATA HDD 보다 용량이 작습니다. (SAS HDD는 가성비가 좋지 않음)

 

SAS HDD는 SATA HDD 보다 두께가 두껍습니다.

일반 SATA HDD나 SSD의 두께는 6.8mm~9.5mm 정도인데 SAS HDD는 13mm (1.3cm)나 됩니다.

이것은 다양한 컨트롤러 장착을 위한 공간과 고속 RPM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구조로 볼 수 있습니다.

 
SATA HDD를 SAS 커넥터에 연결할때는
SAS SFF-8482 규격 케이블 (전원 공급과 데이터 일체형)을 이용해 메인보드 SAS 포트에 연결하면 됩니다.
 
 


 




'IT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료 AI 뷰어 및 편집 도구 13종 소개  (0) 2016.01.05
윈도우7 2007 모든 버젼 파워포인트 창 2개 분리하기  (0) 2016.01.05
잘 알려진 포트번호  (0) 2015.12.25
업체별 dns  (0) 2015.12.24
HDD 타입 확인  (0) 2015.12.24
Posted by 랩퍼우
IT 정보2015. 12. 25. 16:16

포트

TCP

UDP

설명

상태

0

 

UDP

예약됨; 사용하지 않음

공식

1

TCP

 

TCPMUX (TCP 포트 서비스 멀티플렉서)

공식

7

TCP

UDP

ECHO 프로토콜

공식

9

TCP

UDP

DISCARD 프로토콜

공식

13

TCP

UDP

DAYTIME 프로토콜

공식

17

TCP

 

QOTD (Quote of the Day) 프로토콜

공식

19

TCP

UDP

CHARGEN (Character Generator) 프로토콜

공식

20

TCP

 

FTP (파일 전송 프로토콜) - 데이터 포트

공식

21

TCP

 

FTP - 제어 포트

공식

22

TCP

 

SSH (Secure Shell) - ssh scp, sftp같은 프로토콜 및 포트 포워딩

공식

23

TCP

 

텔넷 프로토콜 - 암호화되지 않은 텍스트 통신

공식

25

TCP

 

SMTP (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 이메일 전송에 사용

공식

37

TCP

UDP

TIME 프로토콜

공식

49

 

UDP

TACACS 프로토콜

공식

53

TCP

UDP

DNS (Domain Name Syetem)

공식

67

 

UDP

BOOTP (부트스트랩 프로토콜) 서버. DHCP로도 사용

공식

68

 

UDP

BOOTP (부트스트랩 프로토콜) 서버. DHCP로도 사용

공식

69

 

UDP

TFTP

공식

70

TCP

 

고퍼 프로토콜

공식

79

TCP

 

Finger 프로토콜

공식

80

TCP

UDP

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 - 웹 페이지 전송

공식

88

TCP

 

케르베로스 - 인증 에이전트

공식

109

TCP

 

POP2 (Post Office Protocol version 2) - 전자우편 가져오기에 사용

공식

110

TCP

 

POP3 (Post Office Protocol version 3) - 전자우편 가져오기에 사용

공식

113

TCP

 

ident - 예전 서버 인증 시스템, 현재는 IRC 서버에서 사용자 인증에 사용

공식

119

TCP

 

NNTP (Network News Transfer Protocol) - 뉴스 그룹 메시지 가져오기에 사용

공식

123

 

UDP

NTP (Network Time Protocol) - 시간 동기화

공식

139

TCP

 

NetBIOS

공식

143

TCP

 

IMAP4 (인터넷 메시지 접근 프로토콜 4) - 이메일 가져오기에 사용

공식

161

 

UDP

SNMP (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공식

179

TCP

 

BGP (Border Gateway Protocol)

공식

194

TCP

 

IRC (Internet Relay Chat)

공식

389

TCP

 

LDAP (Lightweight Directory Access Protocol)

공식

443

TCP

 

HTTPS - HTTP over SSL (암호화 전송)

공식

445

TCP

 

Microsoft-DS (액티브 디렉터리, 윈도 공유, Sasser-worm, Agobot, Zobotworm)

공식

445

 

UDP

Microsoft-DS SMB 파일 공유

공식

514

 

UDP

syslog 프로토콜 - 시스템 로그 작성

공식

515

TCP

 

LPD 프로토콜 - 라인 프린터 데몬 서비스

공식

540

TCP

 

UUCP (Unix-to-Unix Copy Protocol)

공식

542

TCP

UDP

상용 (Commerce Applications) (RFC maintained by: Randy Epstein [repstein at host.net])

공식

587

TCP

 

email message submission (SMTP) (RFC 2476)

공식

591

TCP

 

파일메이커 6.0 Web Sharing (HTTP Alternate, see port 80)

공식

636

TCP

 

SSL 위의 LDAP (암호화된 전송)

공식

666

TCP

 

id 소프트웨어의 멀티플레이어 게임

공식

873

TCP

 

rsync 파일 동기화 프로토콜

공식

993

TCP

 

SSL 위의 IMAP4 (암호화 전송)

공식

995

TCP

 

SSL 위의 POP3 (암호화 전송)

공식

981

TCP

 

SofaWare Technologies Checkpoint Firewall-1 소프트웨어 내장 방화벽의 원격 HTTPS 관리

비공식

25565

TCP

 

Minecraft의 기본 포트

비공식

465

TCP

 

SSL 위의 SMTP - Cisco 프로토콜과 충돌

비공식, 충돌

Posted by 랩퍼우
IT 정보2015. 12. 24. 21:08

[하나로(SK브로드밴드) DNS 기본]


기본DNS : 219.250.36.130
보조DNS : 210.220.163.82


[KT DNS 기본]

기본DNS : 168.126.63.1
보조DNS : 168.126.63.2


[LG파워콤(LG데이콤) DNS 기본]

기본DNS : 164.124.101.2
보조DNS : 203.248.252.2



Posted by 랩퍼우
IT 정보2015. 12. 24. 19:30

하드디스크들은 사이즈, 연결 방식, 성능, 용량 많은 차이가 있다.

 

먼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하드디스크의 사이즈의 종류를 알아보자.

 

1. 2.5인치 하드디스크

   -. 노트북에 사용되는 하드디스크를 생각하면 된다.

   -. 사이즈가 작고 아담하나 집적화가 되어있어 충격에 약한 편이다.

   -.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서 그런지 3.5인치에 비해 가격이 비싸다.

   -. 노트북, 2.5인치 외장하드에 주로 사용된다.

 

2. 3.5인치 하드디스크

   -. 일반적으로 데스크탑에 사용되는 하드디스크를 생각하면 된다.

   -. 2.5인치에 비해 사이즈가 크고 충격에 강한 편이다.

   -. 컴퓨터, 맥킨토시, 서버, 워크스테이션,3.5인치 외장하드에 주로 사용된다.

 

이번에는 연결방식에 대한 종류를 알아 보도록 하자.

1. IDE(Intergrated Drive Electronics)

1) IDE?

* IDE ATA(Advanced Technology Attachment) 라고 한다.

* IDE 방식은 하드디스크를 제어하고 운영하는 프로토콜이 내장.

* 플러그앤 플레이를 적용해 하드디스크를 자동으로 인식

   * IDE컨트롤러는 메인보드에 내장되어 있어 추가로 장치를 구입할 필요가 없다.

   * P-ATA (병렬) : 선들의 자기장에 의해 데이터가 변형, 왜곡되어 전달되기가 쉬웠다.
초기 90KByte

  * S-ATA (직렬) : USB의 개발로 속도의 비약적 증가.
초기 60KByte ->(급발전) USB - 4MB - 12MB

 

2) IDE의 특징과 종류

* ST-506/412 : ST-506/412 방식의 최초 인터페이스.시게이트의 하드디스크인ST-506ST-412에서 그대로 개량하여 나오게 된 모델. 초창기 컴퓨터 하드디스크 인터페이스

  * ESDI(Enhanced Small Device Interface) : ST-506/412를 이어서 만들어진 인터페이스.ST-506/412보다 많은 부분이 개선된 방식.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 회로를 삽입하여 디지털 데이터를 바로 전송 가격이 고가여서 많이 적용되지는 못함

  * IDE(Integrated Drive Electronics) : 웨스턴 디지털과 컴팩에서 개발된 IDE 인터페이스 방식.
컨트롤러의 기능이 디스크에 집적. 하나의 채널에 2개의
 
하드디스크를 장착. IDE방식의 최대허용 용량은528MB이다.

* EIDE(Enhanced IDE) : IDE방식을 대체하기 위해 나온방식. 고용량의 하드디스크를 인식하기 위해서
E-IDE
가 만들어짐. LBA모드 지원으로 528MB이상의 하드디스크를 지원.
E-IDE
는 두개의 채널과 하나의 채널에 2개의 하드디스크를 장착할 수 있어 총 4개의 하드 디스크를 장착. ATAPI(AT Attachment Packet Interface) 규격지원.

  * ATAPI : CD-ROM드라이브의 인터페이스로 제안된방식. EIDE방식에서 이를 채택해 CD-ROM
드라이브와 하드디스크를 하나의 케이블로 연결해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EIDE 규격이
발표된후 PIO(Program Input Output)모드가 지원되기 시작했다.

 

 3) 설명

 

  1) 아마도 일반 컴퓨터에서 가장 많이 사용했을거라 생각된다. 데이타 커넥터에 꼽히는

      케이블이 넓다. CD-ROM의 케이블도 이와 같다.

      이제 골동품으로 가지고 있는 하드디스크며 서랍속이나 오래된 컴퓨터에 달려있을

      것이다.

  2) master, slave, CS 등 점퍼를 통하여 설정하여 여러개의 하드디스크를 장착할 수 있다.

  3) 가격은 저렴하나 속도, 안정성, 성능면에서 다른 하드디스크에 비해 약하다.

 

2. S-ATA

1) S-ATA?

  * 기존 E-IDE 40핀의 회선 수를 4 개의 회선으로 줄인것

  * SATA는 직렬 전송방식을 사용

  * 케이블이 얇고 반대로 장착하지 못하도록 구성

  * E-IDE 방식에 비교하여 에러율이 적은 것이 특징

  * UDMA/133 (초당 133MB) 보다 더 빠른 최고 150MB/s~600MB/s

  * SATA 방식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메인보드와 하드 디스크를 SATA용으로 선택하여야 한다.

  * 케이블 당 1개의 하드 디스크만을 장착

 

2) S-ATA의 특징

  * 단순해진 케이블 구조

  * 1m길이까지 가능

  * 핫 플러그인 채용으로 작동중 설치 / 제거 가능

  * 전송속도  1세대 = S-ATA 150MB/s

              2세대 = S-ATA2 300MB/s

              3세대 = S-ATA3 600MB/s

 

메인보드의 S-ATA 포트 옆에 번호가 적혀있다. 1번부터 장착하면 됨.1번이 Master 그외에 Slave가 된다.
따로 점퍼세팅이 필요없다.

  * PNP(Plug N Play) : O/S->H/W를 제어하기 위해 드라이버를 설치해야 했었다. 그러나 드라이버를 MS사에서driver.cab 파일로 모아 O/S를 배포. 듣보잡하드웨어나 O/S 생산 이후의 제품이 아닌 이상에 거의 모든 하드웨어 드라이버가 실려있다.

  * Hot Plugin : 전원이 켜진상태에서 하드웨어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방식S-ATA에서 사용가능. USB를 생각하면된다.

 

3) 설명

  1) 현재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하드디스크라 생각된다.

  2) 핫플러깅 기능이 추가가 되고 속도 또한 향상이 되었으며 안정성도 좋아졌다.

      아마도 고가의 SCSI 하드디스크를 따라가려는 듯 하다.

      (핫플러깅은 전원인가시에도 하드디스크 이탈장이 가능한 기능)

  3) E-IDE 하드디스크와 달리 maser, slave 설정을 하지 않고 CMOS에서 설정을 하면

      자동으로 설정이 된다.

4) 가격은 E-IDE 하드디스크와 같이 저렴한 편이다.

 

3. SCSI(Small Computer System Interface)

1) SCSI

  * 컴퓨터에 주변장치를 붙일때 사용되는 고속의 인터페이스

  * 장치를 연결하고 분리할 때 편리하다.

  * 여러개의 하드웨어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장착할 수 있는 하드웨어 개수가 일반
IDE
방식에 비해 많다.

  * 여러개의 하드웨어를 하나의 SCSI장치에 연결할때는 SCSI ID를 지정해야한다.

 

 2) SCSI의 특징

  * 주변기기의 종류에 관계없이 7~15개의 주변기기를 설치할 수 있다.

  * 속도가 빠르고 안정성이 뛰어나다.

  * SCSI를 지원하기 위해서는 SCSI컨트롤러와 주변기기가 필요

  * IDE장비에 비해 2~3배 비싼 단점이 있다.(개인보다는 Server에 사용)

 

 3) SCSI 인터페이스의 특징

 

 규격

최대속도 

커넥터 

연결대수 

 SCSI -1

5MB/s 

50pin 

 7

 SCSI -2, FAST SCSI-2

10MB/s 

50 

 7

 ULTRA SCSI

20MB/s 

50

 7

 WIDE FAST SCSI-2

20MB/s 

68

 15

 ULTRA WIDE SCSI

40MB/s 

68

 15

 ULTRA2 SCSI

40MB/s 

68

 15

 ULTRA2 WIDE SCSI

80MB/s 

68

 15

 SCSI-3,ULTRA 160

160MB/s 

68

 15

 ULTRA 320

320MB/s 

80

 15

 

4) 설명

  1) 역시 하드디스크 중에 단연 돋보이는 지존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가격이 고가라서

      일반인이 사용하기에는 쳐다보기만 해야 하는 상태이다.

  2) 일반적으로 서버, 워크스테이션, 맥킨토시 등 고가의 장비에서 사용이 된다.

  3) 점퍼를 통하여 ID 설정을 할 수 있다. 

 

Posted by 랩퍼우